반구대 암각화, 임시 제방 설치 후 영구 보존안 마련
【울산=뉴시스】유재형 기자 =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갈등을 빚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에 대해 정부가 임시제방을 설치한 뒤 영구보존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2일 오전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은 지역 최고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산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현장을 방문했다.이 자리에서 황 최고위원은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과 관련해 "임시제방을 설치해 침수로 인한 암각화 훼손을 막은 뒤 영구적으로 보전할 방안을 찾아보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당장 훼손이 가속되는 것을 막은 뒤 시간을 두고서 식수문제와 영구적 반구대 암각화 보존방안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여당 현장최고위원회의 첫 일정을 반구대 암각화로 잡은 것은 소모적인 논쟁으로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지역 여론을 수렴해 그 해법을 찾기 위해서다.
지난달 30일 국무조정실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2013년 국정주요업무 보고 자리에서 전국 69개 과제와 함께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을 갈등과제로 선정했다.
조기에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확인된 것이다.최근 모철민 청와대 교육문화수석과 한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이 같은 정부 방침은 감지됐다.
모 수석은 "현 상황에서 울산시의 '생태제방안'과 문화재청의 '수위조절안'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둘다 함께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판단하고 있는 명확한 자료와 울산 지역여론 등을 놓고 총리실 현장점검반이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최종 방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장점검반은 빠르면 올 여름 장마 이전까지 구성을 마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 오는 9월 이전까지 최종방안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적구성은 총리실을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가 함께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반구대 암각화는 가장 오래된 선사시대 바위그림으로 가로 10m, 세로 3m 크기의 바위 면에 고래 67점 등 약 307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1995년 국보 285호로 지정됐지만 인근 사연댐으로 인해 일년에 길게는 8개월을 물속에 잠겼다가 노출되기를 반복하고 있어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대한 보존 방안을 두고 암각화 앞에 생태제방을 쌓아 훼손을 막자는 울산시와 침식의 원인이 되는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자는 문화재청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최근에는 문화재청안에 동조하는 반구대암각화보존대책위와 울산시안에 동조하는 울산역사문화모임이 가세하면서 시민사회단체간 대리전 양상을 띠고 있다.
you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故김새론 친구 8명, 김수현과 미성년 교제 알고 있어" 유족 변호사
- '송지은♥' 박위, 두 발로 서서 찍은 웨딩화보 '뭉클'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 후 6년만 복귀 "죽어야 끝나나 싶었다"
- "김수현, 故김새론 고2때 닭도리탕·소주 먹었다" 가세연 또 폭로
- '연예계 은퇴' 소희, ♥15세 연상과 결혼 후 물오른 미모
- 김수현 저격한 故설리 오빠, 전 매니저 소환 "정리할 게 많다"
- '52㎏ 감량' 최준희, 뼈말라 몸매…바비인형 미모
- 김종국, 재산 1000억설 비결 "맨정신에 대장내시경"
- "김수현 기자회견 궤변…카톡 분석도 허접해" 프로파일러 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