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위원회, 수상자 사망에 '당혹'
발표 직전 사망은 첫 사례, `추서' 여부 검토
(스톡홀름 AP.AFP=연합뉴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 직전 사망하는 전례없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노벨위원회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노벨위원회는 수상자가 발표 3일전에 사망한 사실조차 파악하지 않은 채 수상 명단을 발표한 것으로 드러나 이와 관련한 책임 소재와 향후 절차 등을 놓고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벨상 심사위원회의 괴란 한손 위원장은 3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인 랠프 슈타인먼(68)이 최근 췌장암으로 숨진 것으로 확인된 것과 관련, "지금 (사망) 사실을 알았다"면서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슈타인먼이 수상의 기쁨을 누리지 못한다는 사실을 애도하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새로운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기로 했으며 수상 규정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벨상은 수상자가 발표된 날로부터 수상식이 열리는 날까지 숨지는 경우에만 추서하는 것이 관례였다.
지난 1996년 경제학상 수상자인 윌리엄 비커리가 발표 며칠뒤 숨져 추서된 적이 있으나 슈타인먼과 같이 수상 명단 발표 며칠전에 별세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실제로 노벨재단의 아니카 폰티키스는 "이런 일은 없었다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슈타인먼의 딸 알렉시스는 "아버지는 돌아가실 때까지도 수상 사실을 몰랐다"면서 "아버지의 노력이 노벨상으로 인정받게 된 것에 대해 모두 감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슈타인먼이 연구원으로 활동했던 미국 뉴욕 록펠러대학은 성명을 내고 그가 4년 전 췌장암 판정을 받았으며 지난달 30일 숨졌다고 밝혔다.
캐나다 출신의 슈타인먼은 면역체계 활성화에 획기적인 연구업적을 이룬 공로를 인정받아 브루스 A. 보이틀러(53·미국), 율레스 A. 호프만(70·룩셈부르크)과 함께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이날 선정됐다.
공동수상자인 보이틀러와 호프만도 이날까지 슈타인먼의 사망 사실을 전혀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humane@yna.co.kr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대전 흉기피살 여성 작년 말부터 4차례 신고"…'교제살인' 무게 | 연합뉴스
- 박수홍, 법적 다툼 중인 식품업체 대표에 경찰 고소당해 | 연합뉴스
- 고교생에 음란 메시지 받은 여교사, 2년 전 학부모에게 추행당해 | 연합뉴스
- '반려견 비비탄 난사' 군인 부친, 피해자 협박 혐의로 검찰 송치 | 연합뉴스
- 스토킹 살인미수 남성, 범행 전에 전화 168회·문자 400통 | 연합뉴스
- 20대 간부급 경찰관, 지하철서 여성 불법촬영하다 검거 | 연합뉴스
- 생일상 차려준 아들 총기로 살해한 60대…경찰 '망상 범죄' 결론 | 연합뉴스
- 27년간 가슴에 묻은 딸…"은희야 네 억울한 죽음 꼭 밝힐게" | 연합뉴스
- "냐냐냐냥…" 경찰관이 참고인 조사받은 시민에 수십번 장난전화 | 연합뉴스
- 경찰 3명에 흉기 휘두른 후 의식불명…결국 수사중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