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환율 급락 더더욱 바람직하지 않아"
정부가 26일 환율 급락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에 참석한 최중경 기획재정부 1차관은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지만 급격한 하락은 더더욱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그 이유로 "환 헤지를 잘 못하는 영세 수출 중소기업이 자금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외환시장은 양방향으로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동성이 크면 줄이는 것이 정부의 책무"라고 덧붙였다.
최 차관은 전날 환율 하락이 이성태 항은총재의 발언으로 비롯됐다는 지적에 대해 "한국은행에서 해명자료를 낸 것을 봤는데 발언의 진의가 잘못 전달된 것 같다"고 전제하면서도 "시장에서 잘못 해석한 면도 있지만 반응할 수 밖에 없는 발언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정책금리차가 2.75%포인트라는 점을 들며 '과유불급'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내외 금리차가 크면 외국자금이 급격히 흘러 들어오고 낙차가 해소되는 시점에 확 빠져나는 것은 시장의 불안이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한 발언"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의 발언이 '내외 금리차가 크기 때문에 국내 금리도 내려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고 말하자 그는 "해석의 자유는 일반에 있는 것"이라며 즉답을 피한 후 "어떤 상황을 판단할 때 다른 나라가 어떻게 하는지 봐야 한다. 다른 나라들이 자국의 금리와 미국의 금리차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의 '성장보다 물가가 우선'이라는 발언에 대해서 "인터뷰 전문을 봤는데 대통령의 발언은 성장 대신 물가에 '올인'한다는 뜻이 전혀 아니다"라며 "MB 노믹스의 핵심은 7% 성장 능력을 갖춘 경제"라고 밝혔다.
최 차관은 또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가 진정되고 있다는 일각의 분석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공적자금 투입에 대해 미국 내부에서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단언하기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의 경험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상황은 종료에 가깝다"고 밝혔다.
최 차관은 국내 금융기관의 외화차입 동향에 대해 "큰 문제가 없다"면서 "다만 전세계적으로 자금경색을 겪고 있어 스프레드가 올라가면서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면밀하게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원 기자 jjongwonis@<ⓒ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4세에 시작, 100번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아"…'성형 광풍' 中 외신도 경악 - 아시아경제
- "남편 없는 날 많아"…추신수 아내, 100억 美 저택에 만든 '이것' - 아시아경제
- "우리 회사도 필요해"…'하루 1회 이상 샤워' 공지글에 격한 공감 - 아시아경제
- "삐죽 웃으면 94%가 이혼하더라"…심리학자 근거는? - 아시아경제
- "배변량 줄고 자꾸 쉬려고 해"…중국 간 푸바오 또 - 아시아경제
- 3개월 딸 100만원에 판 친모…13년만에 '징역 1년' - 아시아경제
- "지금 내리면 430만원 드려요" 승무원 말에 승객들 "나도 나도" - 아시아경제
- "이게 1만2000원?"…체육대회 선수단에 제공한 도시락 '부실' 논란 - 아시아경제
- "차라리 병째 시키세요"…관광객들 다 속는다는 와인 '분갈이'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어" 민폐 유튜버 소말리…서경덕 "처참한 몰락"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