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컴퓨팅 센터 2027년 문연다...삼성SDS·네이버·카카오 참여할까

조회 282025. 2. 7.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한국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올해 개시를 위한 밑 작업을 본격화한다. 이는 AI의 핵심 인프라를 신속히 확보해 국내 AI 연구·개발(R&D)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정부는 지분 참여와 정책금융을 지원하고 기업이 첨단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사업 모델과 컨소시엄 구성은 참여 기업에 대한 평가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완료되는 올해 하반기에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달 23일부터 시작한 사업 공모에 이어 국내외 기업의 사업 참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상세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자리다.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한국전력공사 외에도 네이버와 카카오, SK텔레콤, 삼성SDS 등 300여명의 국내외 주요 정보기술(IT) 기업 관계자들이 사업설명회에 참석했다.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려면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첨단 반도체 기반 인프라가 필요하다. 미국은 자본력을 갖춘 빅테크의 주도로 이러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주요 대기업을 제외하면 이러한 설비를 자체적으로 갖춘 기업을 찾아보기 어렵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국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인프라를 마련해 기술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민간의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고 기술과 시장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51%, 기업이 49% 지분을 갖는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올해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하고, 2027년까지 센터 개소를 완료한다는 목표로 추진된다. 공공성을 갖추면서도 전문성을 추구하기 위해 경영은 민간 주도로 이뤄질 예정이다.

정부는 사업설명회에서 사업 주요 추진 내용과 신청 자격 및 절차,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청 방법 등 기업들의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소개했다. 우선 사업 공모에 참여하는 민간 기업은 이달 28일까지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해야 한다. 사업참여계획서 작성 지침과 평가 기준 등 세부 사항을 담은 공모지침서는 의향서를 제출한 기업에만 제공된다. 국내 산업·연구계에 대한 고품질 컴퓨팅 인프라 제공이 센터 설립의 목적인 만큼 참여 기업들은 이를 달성할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후 6월부터 기술 및 정책평가를 진행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금융심사를 통과한 기업에 대해 이르면 9월까지 SPC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 확보를 위한 한국전력의 전력계통영향평가도 공모 사업자에 대해서는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예정이다.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기반의 대규모 공급에 걸맞은 수요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기업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마련할 방침이다.

산업은행은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AI컴퓨팅 인프라에 투자하는 기업에 3년간 총 17조원의 운용규모 중 2조5000억원을 지원한다. 1차 사업연도에 해당하는 올해에는 25%인 6250억원이 할당됐다. 과기정통부가 공모로 선정한 사업자 대상으로 대출이 지원된다. 여신 기간은 최대 15년으로, 금리 하한은 국고채 수준까지 낮췄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가 AI컴퓨팅 센터로 대표되는 첨단 인프라에 뛰어난 인재, 소프트웨어 혁신이 더해질 때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민간과 정부가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솔 기자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