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계약📨 등기부등본, 미납 세금 체크하는 방법

조회 7,6812025. 2. 7.

임대차계약을 할 때 겁 먹을 건 없어요.

가장 먼저 할 일은 등기부등본을 체크하는 거예요.

등기부등본은 표제부·갑구·을구 등으로 나뉘어 있어요.

ⓒGettyImages

✍️ 표제부

표제부는 건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담고 있어요. 이 집에 대한 간단 프로필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건물의 주소, 용도, 면적, 구조,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죠.

임대차계약서상 주소와 표제부에 적힌 주소가 동일한지부터 확인하고요.

용도에 ‘주거용’이라고 적혀있는지도 꼭 체크하세요.

✍️ 갑구

갑구는 소유권에 대한 사항을 기록한 구역이에요. 집주인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할 수 있죠.

갑구에 적힌 소유주와 계약하려는 집주인이 동일한 사람인지 확인해야 해요.

압류·가압류·경매개시결정·신탁등기 등의 사항이 있다면 소유권 분쟁 소지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가등기가 설정된 집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 을구

을구에서는 해당 주택을 담보로 한 빚이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을구에서 근저당이 잡혀 있다면 보증금과 채권최고액의 합이 얼마인지 꼭 확인해야 해요.

만약 합계 금액이 주택가격의 80%를 초과한다면 보증금 미반환 우려가 커요.

👣 미납 세금 확인하기

전세계약을 진행한다면 임대인의 납세증명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밀린 세금이 많다면 추후 집이 경·공매에 넘어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커지거든요.

계약서에 도장을 찍기 전 집주인에게 납세증명서를 보여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데요.

납세증명서 맨 위에 적혀있는 ‘문서확인번호’를 따로 메모해둔다면 추후 정부24에서 해당 문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Copyright © 데일리팝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