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대금 연동제 적용률 6%로 저조…"운송비 등 추가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업 하도급대금 연동제의 적용률이 미비해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일 '건설업종 하도급대금 연동제 적용 확대 방안'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23년 10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하도급대금 연동제 적용률이 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건설업 하도급대금 연동제의 적용률이 미비해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일 '건설업종 하도급대금 연동제 적용 확대 방안'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23년 10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하도급대금 연동제 적용률이 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건정연이 2월 대한전문건설협회 소속 전문건설 업체 290곳을 설문 조사한 결과 6.2%(18곳)만 하도급 대금 연동제를 적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하도급대금 연동제는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대·중소 또는 원·하도급 기업이 분담하는 제도로 대금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원재료 가격이 사전에 정한 일정 비율 이상 오르내리면 대금을 조정하는 것이다.
설문조사에서 연동제 적용률이 낮은 이유로 홍보부족(69.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노무비 미적용(34.6%)이 주요 한계로 꼽혔다.
보고서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재료의 범위에 운송비, 에너지 비용, 노무비를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성진 건정연 연구위원은 "건설자재가격이 급등하는 시기에 하도급대금 연동제를 확대할 경우 원사업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지만 최근 자재가격이 안정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연동제 활성화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d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전현무·보아, 한밤중 집에서 어깨 기대고 '취중 라방'…매니저 전화에 '급종료'
- "초등 여동창, 남친 '그곳' 관리하는 왁싱 담당이었다…불편한데 어떡하죠"
- "이웃 때려죽인 중3, 태연히 고교 입학"…분노한 유족, 고인 사진 공개
- 이재명이 지지율 1위 아니다? 明보다 지지율 높은 A 씨…與野 모두 긴장
- "유언장 빽빽하겠구먼"…헬스유튜버 故 김웅서, 사실혼 여성과 녹취록 파장
- 강호동이 판 가로수길 빌딩, MC몽 이사로 있는 더뮤가 166억에 샀다
- '식당 전단지 돌리는' 김상혁 "母 남친에23억 원 사기 당해" [RE:TV]
- 개리, 연예인급 미모 10세 연하 아내 공개…결혼 8주년 자축 1천만원 기부까지
- 효민, 6일 드디어 결혼…금융인 예비 신랑 얼굴도 공개 '훈남'
- KCM, 아내 한일 이중국적→ 귀화… "너무 예뻐 첫눈에 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