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땅, 작년에만 여의도 3개만큼 더 늘었다는데 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전국 국토면적이 10.5㎢만큼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기준 대한민국의 국토면적은 10만459.9㎢로 조사됐다.
2014년 10만238㎢이었던 국토면적은 지난 10년간 개발사업 영향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임야와 농지 면적의 경우도 각각 186㎢,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농업 경영을 위한 사업용 토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발사업에 국토면적 10년째 증가
전국 산림·농경지 비율 81.3% 달해
지난해 전국 국토면적이 10.5㎢만큼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여의도 면적(2.9㎢)의 3.6배에 달하는 크기다. 토지 매립과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그만큼 땅이 넓어진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에 기초가 되는 2025년 지적 통계를 1일 공표한다고 밝혔다. 지적통계는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지난해 말 기준 대한민국의 국토면적은 10만459.9㎢로 조사됐다. 2014년 10만238㎢이었던 국토면적은 지난 10년간 개발사업 영향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엔 인천 경제자유구역 매립준공과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국토 면적이 증가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큰 지자체는 경북(1만8428㎢)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강원(1만6830㎢)과 전남(1만2363㎢) 순으로 컸다. 작은 지자체로는 세종시(465㎢)와 광주시(501㎢), 대전시(539㎢)가 꼽혔다.
용도별로 따지면 임야가 국토의 63%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답(10.8%)과 전(7.4%)을 합한 산림·농경지 비율은 81.3%에 달했다. 지난 10년간 지목별 면적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전, 답, 임야 면적은 각각 3.4%, 5.4%, 1.2% 감소했고, 대지와 도로 면적은 각각 16.8%, 1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를 소유자별로 분석하면 개인 49.6%, 국유지 25.6%, 법인 7.6%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년간 법인소유 공장용지와 대지 면적은 각각 176㎢, 112㎢ 증가하였다. 이는 지속적인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사업용 토지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임야와 농지 면적의 경우도 각각 186㎢,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농업 경영을 위한 사업용 토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적통계는 전 국토의 면적과 이용현황 등의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며 “토지 관련 정책수립, 학술 연구 등에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개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30女 사로잡자…초코파이·커피믹스도 결국 '중대결단'
- "한국 미래는 바뀌지 않을걸?"…머스크, 또 '암울한 예언'
- 천조국이 어쩌다…'계란 이어 화장지까지 사라질 판'
- 30년 내에 '日 대지진' 온다…'30만명 사망' 전망에 공포
- 자영업자들 "돈 못 갚아요"…10년 만의 최악 사태에 '비명'
- 1년 전기료만 '1900억'…'더이상 못 버텨' 문 닫은 공장
- 언제는 남아서 버린다더니…지금은 "비싸서 수출도 못 해" 한숨 [이광식의 한입물가]
- [단독] "피해 없어도 30만원"…경북 산불 재난지원금 논란
- "진짜 미쳤다" 아이돌 '10억 기부'에…놀라운 일 벌어졌다 [연계소문]
- 2030女 사로잡자…초코파이·커피믹스도 결국 '중대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