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에 2월 주택 매매 30%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급증하며 전국의 주택 매매가 3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활발한 주택 거래에도 주택 인허가와 착공, 분양, 준공 등의 주택 공급 시장의 선행 지표는 모두 하락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1월보다 32.3% 증가했다.
2월 전국의 주택 전월세 거래량도 1월보다 38.6% 늘어난 27만8238건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정혜아 객원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급증하며 전국의 주택 매매가 3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활발한 주택 거래에도 주택 인허가와 착공, 분양, 준공 등의 주택 공급 시장의 선행 지표는 모두 하락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1월보다 32.3% 증가했다. 수도권이 2만4026건으로 1월 대비 34.6% 늘었고, 지방은 2만6672건으로 30.3% 늘었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 4743건으로, 1월 3233건 대비 46.7% 크게 늘었다. 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더해 토허제 해제가 맞물린 결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2월 전국의 주택 전월세 거래량도 1월보다 38.6% 늘어난 27만8238건을 기록했다. 2024년 2월 대비로도 6.0% 증가했다. 특히 월세 거래(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가 17만5124건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하며 전세를 크게 앞질렀다. 2월 누계(1~2월) 기준으로 연도별 월세 거래 비중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 2024년 57.5%, 올해 61.4% 등이다. 최근 수년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뚜렷해지는 추세다.
주택 공급 시장의 각종 선행 지표는 지난달 줄줄이 떨어졌다. 전국의 주택 인허가는 1만2503가구로, 1월 대비 44.3%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7003가구로, 1월 대비 53.7% 줄며 반토막 났다. 주택 착공은 1만69가구로 1월 대비 1.1% 감소했으나, 1~2월 누계(2만247가구)로는 2024년 같은 기간과 비교교해 40.6% 급감했다. 2월 분양(승인 기준)도 5385가구로 27.6% 줄어든 가운데 수도권 분양은 전무했다. 준공도 3만6184가구로 13.3% 감소했다.
쌓여가던 미분양 주택 물량은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로 1월(7만2624가구)보다 3.5% 감소했다. 그러나 다 짓고도 분양되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2만3722가구로 3.7%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이 2만3000가구를 넘은 것은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래 처음이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활동 중단에 ‘혐한’ 인터뷰까지…뉴진스의 행보 괜찮나 - 시사저널
- 성인 남녀 3명 연쇄 실종 가양역 미스터리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바둑판의 전설, 이기고 지는 데 도리 없는 《승부》 - 시사저널
- “의과학자 되고파”…15살 ‘최연소 의대생’의 공부 비법은 - 시사저널
- 감기인 줄 알았는데…외국발 ‘홍역’ 비상! 30~40대 특히 주의 - 시사저널
- 글로벌 음원차트 휩쓴 제니 “잘난 게 죄니?” - 시사저널
- ‘경북산불’ 최초 발화자 50대 입건…“묘소 정리 중 실화 추정” - 시사저널
- ‘장구의 신’ 박서진 “《현역가왕2》 우승 순간, ‘큰일 났다’ 생각” - 시사저널
- ‘망할 것’이라던 쿠팡플레이의 반전 플레이…승부수 통했다 - 시사저널
- 부모님 도움으로 ‘50억 아파트’ 산 뒤 신고 안 했다가 결국…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