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 틈타...2월 주택 매매 '껑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급증해 전국의 주택 거래가 30% 이상 늘었다.
최근 증가해온 미분양 주택은 소폭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증가세가 지속되어 1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증가세를 이어오던 미분양 주택 물량은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급증해 전국의 주택 거래가 30% 이상 늘었다.
최근 증가해온 미분양 주택은 소폭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증가세가 지속되어 1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16.6% 늘었다.
수도권이 2만4천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증가했고 지방은 2만6천672건으로 30.3% 늘었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4천743건)가 전월(3천233건) 대비 46.7%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국토부는 이사가 많은 봄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 토허제 해제까지 맞물린 결과로 분석했다.
전국의 주택 전월세 거래량도 전월보다 38.6% 늘어난 27만8천238건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6.0% 증가했다.
수도권 17만6천506건, 지방 10만1천732건으로 각각 전월 대비 35.4%, 44.6% 증가했다.
아파트의 전월세 거래는 25.1% 증가한 12만3천808건, 비아파트는 51.8% 늘어난 15만4천430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거래(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가 17만5천124건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해 전세를 크게 앞질렀다.
2월 누계(1~2월) 기준으로 연도별 월세 거래 비중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 2024년 57.5%, 올해 61.4% 등으로 최근 수년간 월세 우위 현상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달 주택 공급 시장의 각종 선행 지표는 줄줄이 추락했다.
전국의 주택 인허가는 1만2천503가구로 전월 대비 44.3% 감소했으며 1~2월 누계 인허가(3만4천955가구)도 전년 동기 대비 28.3% 줄었다. 특히 지난달 수도권 주택 인허가(7천3가구)가 전월 대비 53.7% 줄며 반토막 났다.
주택 착공은 1만69가구로 전월 대비 1.1% 감소했지만 1~2월 누계(2만247가구)로는 전년 동기 대비 40.6% 급감했다.
2월 분양(승인 기준)도 5천385가구로 27.6% 줄었다. 수도권 분양은 전무했다. 1~2월 누계로도 분양은 1만2천8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7.9% 줄었다.
준공도 3만6천184가구로 13.3% 감소했지만 다만 1~2월 누계(7만7천908가구)로는 전년 동기 대비 3.2% 늘었다.
지난해 12월부터 증가세를 이어오던 미분양 주택 물량은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로 전월(7만2천624가구)보다 3.5% 감소했다. 그러나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이 2만3천722가구로 3.7% 늘었다.
이로써 악성 미분양은 작년 12월 이후 석 달 연속 2만가구를 상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이 2만3천가구를 넘은 것은 2013년 10월(2만3천306가구) 이래 처음이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008~2011년 4만~5만가구에 달하기도 했지만 점차 줄어 2022년 5월에는 6천800여건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2023년 10월 1만가구를 넘어선 뒤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제 혜택 등의 지원책으로 준공 후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