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쌓이는 대구·부산·울산은 여전히 '찬바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지만 지방 주택시장엔 찬바람이 여전히 거세다.
대구를 비롯한 곳곳에서 집값이 뒷걸음질하고 미분양은 쌓여가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방에서 교통과 주거 환경이 좋은 지역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지만 전반적인 미분양 증가 속에 부동산 경기도 좋지 않아 모든 지역이 다 같이 오를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지방에선 누적된 미분양도 문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상승세 번질 가능성 낮아"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지만 지방 주택시장엔 찬바람이 여전히 거세다. 대구를 비롯한 곳곳에서 집값이 뒷걸음질하고 미분양은 쌓여가고 있다.
대구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지난 10일까지 1.17% 하락했다. 2021년 11월 준공한 대구 달서구 월배삼정그린코아포레스트(1533가구) 전용면적 84㎡는 지난 10일 5억7500만원(18층)에 거래돼 직전(6억2500만원·11층)보다 5000만원 떨어졌다. 2021년만 해도 같은 면적 입주권이 8억원 넘는 가격에 거래된 단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대구 입주 물량은 올해 1만2334가구, 내년 1만751가구가 예정돼 있어 공급 과잉 해소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파트값 하락은 전남 광양(-1.30%), 경남 거제(-1.28%), 전북 익산(-1.14%), 경북 구미(-1.09%) 등에서도 멈추지 않고 있다. 세종(-0.87%), 부산(-0.56%), 대전(-0.44%), 광주(-0.40%) 등 지역 거점 도시도 마찬가지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방에서 교통과 주거 환경이 좋은 지역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지만 전반적인 미분양 증가 속에 부동산 경기도 좋지 않아 모든 지역이 다 같이 오를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지방에선 누적된 미분양도 문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전달보다 2451가구, 1년 전보다 8869가구 증가했다. 대구가 8742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평택(6438가구), 부산(4526가구), 울산(3943가구), 인천(3261가구), 경북 포항(2706가구) 순이었다. 공사를 끝내고도 건설회사가 공사비를 다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져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적으로 2만2872가구에 달했다. 전달보다 1392가구 늘어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중견 건설사가 잇달아 무너지는 것은 지방 아파트값 약세와 미분양 누적 등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어서다”라고 우려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치킨집보다 훨씬 낫네'…고스펙 6070들 몰리는 곳
- 사지마비 환자가 '염력' 쓰는 시대 오나…머스크 일냈다
- "비싼 에어팟 필요없다"…막귀들 홀린 4만원짜리 中 '가성비템'
- "상견례 중이니 조용히 해달라"…저가 커피숍 찾았다 '황당'
- '가짜 장애인 주차증' 영상에 찍혔는데…무죄 받은 변리사, 왜?
- '이제 일본 여행 안 가요' 돌변…한국인 우르르 몰려간 나라
- "직원들 벤츠 한 대씩 뽑을 돈 벌었어요"…시골 공장에 무슨 일이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 "더는 못 참겠다"…'쿠팡 회' 맛본 노량진수산시장 상인의 결심
- '대리보다 낮은 부장?'…회사 난리 나도 MZ들 "좋아요" [김대영의 노무스쿨]
- "사두면 돈 번다"…부자들 벌써 '뭉칫돈' 들고 돌진한 곳이 [양현주의 슈퍼리치 레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