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사업 경기전망, 토허제 해제·금리인하에 7개월만 반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와 정부의 금리 인하로 서울 주택사업 경기 전망이 7개월만에 반등했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이달 서울의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는 전월보다 3.4포인트 상승한 79.0으로 나타났다.
지수가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주택사업자가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을 웃돌면 그 반대다.
지난해 8월 이후 계속 하락했던 서울 지수는 7개월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와 정부의 금리 인하로 서울 주택사업 경기 전망이 7개월만에 반등했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이달 서울의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는 전월보다 3.4포인트 상승한 79.0으로 나타났다.
지수가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주택사업자가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을 웃돌면 그 반대다.
지난해 8월 이후 계속 하락했던 서울 지수는 7개월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연구원은 "토지 거래 허가제가 해제되면서 매매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기준금리도 인하돼 사업자들의 심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인천(59.2→56.6)이 2.6포인트 하락했지만 서울과 함께 경기(58.8→60.5)가 1.7포인트 오른 결과 수도권 전체로는 0.9포인트 상승한 65.4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은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하면서 0.8포인트 오른 75.9로 조사됐다. 광역시는 4.8포인트 상승한 73.0으로 전망됐고, 도지역은 2.3포인트 하락한 78.0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 대전이 27.5포인트로 최대 상승폭을 보였고, 전북이 15.2포인트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전국 지수는 0.8포인트 상승한 74.0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대출규제 완화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등이 사업자들의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면서 전국적으로 상승했다.
전국 자금 조달 지수(72.3)는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에 3.1포인트 올랐다. 자재 수급 지수(96.7)는 수입 자재 비축분의 여유가 생기면서 0.7포인트 상승했다.
김창영 기자 kcy@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현, 드디어 입 연다 '다음 주 공식 입장 발표할 것' [전문]
- 서천 '묻지마 흉기 살인' 피의자는 34세 이지현…경찰, 신상정보 공개
- '요즘 4050 여기서 용돈 받는대' 2달 만에 100만 돌파했다는 이 서비스
- '700만원으로 람보르기니 차주 되는 법'…전세계 단 500대뿐인 '슈퍼 유모차'
- '코카콜라·맥도날드·스타벅스 안 산다'…트럼프 관세에 분노, 미국산 불매운동 확산
- '대리 불렀다가 인신매매 당할 뻔' 괴담 퍼지자…진화 나선 티맵 '사실무근'
- '얼굴 95%가 털로 덮였다'…인도 '늑대소년', 왕따 이겨내고 기네스북 주인공
- 故 휘성 부검 종료…유족 '가는 길 외롭지 않게 힘께 해 주길'14일 빈소 마련
- '충돌 없는 사망사고'…다가오는 차량에 놀라 넘어져 숨진 보행자, 운전자는 송치
- '시아버지 먹다 남긴 밥 주고 '깨끗이 드셨어'라는 시어머니 어쩌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