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계양 1.7만가구…'복합자족도시'로 조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31일 찾은 인천 계양지구 A3블록 신혼희망타운 아파트 건설 현장.
인천 계양지구는 정부가 수도권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2019년 10월 지정한 3기 신도시 중 한 곳이다.
계양지구는 1990년대 중후반 계산지구(현 계산4동) 이후 약 30년 만에 계양구에 계획된 신도시다.
계양지구는 지난해 9월 3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A2·A3블록 본청약을 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판교테크노밸리 1.7배 자족용지
주거·상업·산업 결합한 복합단지
A3블록 추정분양가 5700만↑
대장지구와 각종 인프라 공유
고분양가·광역교통망 해결해야
지난달 31일 찾은 인천 계양지구 A3블록 신혼희망타운 아파트 건설 현장. 추운 날씨에도 임시 벽 안쪽에서 공사가 한창이었다. 이 단지는 지난해 3월 3기 신도시 중 가장 먼저 첫 삽을 떠 2026년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계양구 동양동 S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주변 대부분이 30년 넘은 노후 아파트라 신도시에 대한 갈증이 컸다”며 “3기 신도시 중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데다 교통, 교육, 산업단지 등 기반 시설도 함께 조성돼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자족 기능 결합한 복합단지
인천 계양지구는 정부가 수도권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2019년 10월 지정한 3기 신도시 중 한 곳이다.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 총면적 333만㎡에 청년주택을 포함해 공공주택 9000가구 등 총 1만7000가구를 짓는다. 서울 여의도공원의 네 배 규모 공원·녹지(94만㎡)도 5개의 선형공원으로 분산 조성한다. 2022년 11월 3기 신도시 중 가장 먼저 첫 삽을 떴다.
계양지구는 1990년대 중후반 계산지구(현 계산4동) 이후 약 30년 만에 계양구에 계획된 신도시다. 베드타운에 가까운 계산지구와 달리 국토교통부는 기획 단계부터 자족 능력을 강화했다. 성남 판교테크노밸리 1.7배 규모인 자족용지 69만㎡(전체 지구 면적의 22%)를 활용해 서울에 집중된 일자리 기능을 인천으로 분산·수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등 각종 교통망이 모이는 곳을 중심 거점지역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주거·상업·자족 시설과 녹지가 어우러진 복합단지를 구축할 방침이다. 실제로 계양산업단지가 2026년 완공을 목표로 계양지구 남쪽 병방동 24만㎡ 규모 부지에 조성 중이다.
계양지구는 굴포천을 경계로 인근 부천 대장지구(1만9355가구)와 맞닿아 있다. 두 지구를 합치면 3만6000여 가구로 고양 창릉(3만5000가구), 하남 교산(3만3000가구) 등과 규모가 비슷해진다. 두 지구 모두 서운일반산업단지, 부평국가산단 등과 가까운 데다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를 함께 쓸 수 있어 자족 도시로 시너지를 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분양가 상승으로 청약 경쟁률은 ‘주춤’
계양지구는 지난해 9월 3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A2·A3블록 본청약을 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 A3블록 본청약은 총 229가구 모집에 721명이 신청해 3.14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341가구 모집에 4365건이 접수돼 12.8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2021년 7월 사전청약 때와 달라진 분위기다.
공사비 상승 여파로 사전청약 때보다 사업비가 25~33%가량 올라 분양가가 뛴 게 주된 이유라는 설명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3월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A2블록 공공주택 건설사업의 총사업비를 2022년 1월 사업계획승인 때보다 688억원(25.7%) 증액한 3364억원으로 변경 승인했다. A3블록 총사업비도 1754억원에서 2335억원으로 581억원(33.1%) 인상했다. A3블록 전용 55㎡ 분양가는 사전청약 당시 추정 분양가(3억3980만원)보다 5742만원 오른 3억9722만원대로 책정됐다.
서울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지만 다른 지구와 달리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같은 광역교통망 연결 계획이 없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계양구가 A2·A3블록에서 반경 1㎞에 있는 인천지하철 1호선 박촌역까지 대장홍대선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게 교통 호재로 꼽힌다. 분양 전문가는 “공공분양주택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인상분이 반영되더라도 주변 민간 아파트보다 상승 폭이 작아 청약자가 포기할 정도는 아니다”면서도 “지구 내 각종 인프라가 완전히 갖춰질 때까지 실수요층 유입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입사하자마자 매주 해요"…요즘 MZ 직장인에 유행이라는데
- 해외 여행에 이렇게 진심일 줄은…"예상 완전 빗나가" 반전
- "테슬라 어쩌나"…전기차 보조금 한 푼도 못 받을지도 '발칵'
- "무려 2042% 올랐다"…서학 불개미들 환호한 '이 상품'
- 어머니를 잃은 충격…브람스는 '레퀴엠'을 써내렸다
- "최후의 순간까지…" 기장의 마지막 모습 포착 '먹먹'
- "유가족·봉사자 드세요" 무안공항 카페 '선결제' 알고 보니…
- "돈 주고 앞자리 앉았는데…" 비행기 '안전석' 어딘가 봤더니 [차은지의 에어톡]
- "치킨 안 먹었는데 이럴 줄은"…학계도 뒤집어질 놀라운 연구 [건강!톡]
- 유재석·이준호·황정음 고강도 세무조사…이것 때문이었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