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메? 통금? 불편해"…요즘 대학 기숙사 넷 중 하나는 빈방 [각방시대 기숙사]

장서윤 2024. 6. 6. 0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생 이모(26)씨는 지난 학기 짐을 싸서 기숙사를 떠났다. 이씨가 당초 배정받은 방은 4인실, 룸메이트는 외국인 유학생들이었다. 이씨는 “‘함께 화장실을 청소하자’고 규칙을 설명해도 아무도 지키지 않고, 외국인이다 보니 소통도 안 돼 그냥 방에 들어가기 싫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한 달 넘게 기숙사에서는 옷만 갈아입고, 학교에서 씻고 자는 생활을 했다.

같은 서울대 기숙사 2인실에 거주 중인 김모(29)씨도 ‘룸메이트 스트레스’로 자취를 고민하지만 비용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버티고 있다. 김씨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편인데 룸메이트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서 아침에도 ‘조용조용’ 해야 한다”며 “대학원생은 새벽까지 공부하다 들어가는 경우도 많은데 불을 켜거나 씻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학부생 기숙사인 관악학생생활관. 사진 서울대학교

서울대의 경우 대학가 원룸촌과 통학 거리가 먼 데다 자취할 경우 기숙사보다 월세가 2~3배여서 참고 버티는 학생도 많다고 한다. 올해 들어 전세 사기 여파로 서울 마포구 신촌, 관악구 신림동 등 주요 대학가 신축건물의 원룸 월세는 100만원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이처럼 룸메이트와 공동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각 대학교의 기숙사 공실도 크게 늘었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의 기숙사 입실률은 75%로 떨어졌다. 김동원 고려대학교 총장이 지난 3월 21일 기자 간담회에서 기숙사 증설 계획에 관한 질문에 “현재도 고려대 기숙사 방 4개 중 1개 비어 있다”며 “클 때부터 자기 방을 갖고 혼자 살던 학생들이라 원룸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전만큼 기숙사 부족이 학생들에게 큰 문제가 아니라는 취지다. 다만 연세대·성균관대·이화여대·경희대 등 서울 주요 대학은 “비싼 월세 때문에 기숙사를 희망하는 학생이 여전히 많다”며 “기숙사 입실률이 90% 이상”이라고 전했다.


권익위, 1인실 확대 권고…“부모 세대 형태 여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안암학사의 3인실 기숙사 모습. 사진 고려대학교
국민권익위원회는 오는 6월 말 중 전국 대학교 기숙사의 3인실 이상 방을 1·2인실로 바꾸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권고할 예정이다. 1인실과 공용공간이 합쳐진 복합형태의 기숙사도 대안으로 제시된다. 실제 서울의 한 대학의 1인실 기숙사에 사는 심모(26)는 “방에서도 편하게 전화하고 룸메이트 눈치를 보지 않아도 돼서 좋다”며 “주변에 전세 사기를 당한 친구가 두세 달씩 서류를 준비하는 것도 봤는데 학교에서 안심할 수 있는 원룸을 제공해주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장점으로 꼽았다.

대학생 사이에선 노후한 기숙사 시설에 대한 불만도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학사 3인실에 거주 중인 심성민(20)씨는 “기숙사에 공용 냉장고나 전자레인지 같은 취사도구가 아예 없어 안에서는 냉동식품을 먹을 수 없는 게 아쉽다”고 말했다. 심씨는 “이번 학기에는 동기들이랑 방을 같이 써서 재미있게 지내고 있지만, 군대를 다녀온 뒤에는 자취할 생각”이라고 했다.

지난달 17일 신촌 연세대학교 기숙사 우정원에서는 “기숙사가 붕괴할 것 같다”며 학생들이 퇴소하는 소동도 발생했다.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우정원 지하 1층 셀프키친 바닥 타일이 붕 떠 냉장고가 기울었다’는 글과 함께 바닥 타일이 솟구치듯 들뜬 모습이 올라왔다. 이후 연세대는 서울시, 서대문구청과 합동 점검을 시행한 뒤 “건물의 안전을 우려할 정황은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사진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캡처

“개인 삶 중요, 통금 없애라” 요구도…해외는?


개인의 사적 공간과 삶의 자유를 중시하는 신세대 학생들에게 구시대적인 기숙사 관리 방식이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촌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실제 기숙사에서 한두 달 살다가 중간에 나오는 학생도 있다”며 “특히 이화여대 경우 통금(밤 12시), 남자 출입 금지 등 엄격한 규정 때문에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한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다”고 전했다. 연세대 총학생회는 지난달 22일 ‘송도학사 통금 해제’ 정책을 논의하는 공청회를 열기도 했다. 학생회 자체 인식조사 결과 인천 송도학사에 거주한다고 응답한 1242명 중 835명(67.2%)이 현재 새벽 2시부터 5시 30분까지인 통금 전면 해제, 151명(12.2%)이 통금 시간 완화를 주장했다.
1인실로 보급된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기숙사 노스 홀(North Hall). 사진 하버드대학교 캡처

해외의 경우 일본과 영국·독일 등 유럽권 국가의 대학 기숙사는 대부분 1인실이다. 일본 메이지대학교 기숙사 고마에 국제 하우스와 이즈미 국제 하우스는 전부 개인 방을 제공하고 있다. 홈페이지 기숙사 설명에는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하고 각 방에는 침대, 책상, 욕실 및 주방이 갖춰져 있다”고 적혀있다. 사교적인 문화의 미국은 2인실, 4인실 등 다인실이 가장 전형적이지만 최근 하버드대학교는 로스쿨 기숙사 노스 홀(North Hall)에 1인실 112개를 신설하는 등 개인화에 맞춘 선택권을 넓히고 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유럽권 대학은 거의 다 독방인 데다 남녀 구별도 없다”며 “개인의 자유를 존중해주는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한국도 3인실 이상은 줄이고 개인에게 선택권을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대학이라는 곳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와 팀워크, 남을 배려하는 자세를 배워야 하는 공간”이라며 “이미 초개인주의화로 사회 부작용이 많이 생기는 상황에서 대학교 기숙사까지 1인실로 바뀌면 그 부작용이 심화할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장서윤 기자 jang.seo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