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천자]매일의 감탄력<1>

조인경 2024. 5. 27.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 - IT 회사의 마케터로, 스타트업의 브랜드 디렉터로 일하며 MZ세대가 선호하는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보여 화제가 된 김규림 작가가 자신의 저서 <매일의 감탄력>을 통해 '나답게 살아가는' 기반이 돼 준 특별한 '일상력'을 이야기한다.

"누가 그 일을 하라고 칼 들고 협박했냐"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사람을 비난하는 '누칼협'이나 바닥에 떨어진 사람을 조롱하는 '나락밈'처럼 서로를 깎아내리고 타인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려고 혈안이 된 요즘은 오히려 좋은 점을 발견하고 경탄하는 것도 능력이지 않을까? 그걸 우리는 '감탄력(感歎力)'이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마침 읽고 있던 책에서 햇살 같은 문장을 만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 IT 회사의 마케터로, 스타트업의 브랜드 디렉터로 일하며 MZ세대가 선호하는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보여 화제가 된 김규림 작가가 자신의 저서 <매일의 감탄력>을 통해 ‘나답게 살아가는’ 기반이 돼 준 특별한 ‘일상력’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평소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보이는 밝고 힙한 모습뿐만 아니라 살면서 힘들었던 순간에 대한 고백, 그르친 일에 대한 후회, 인간관계에 대한 고민 등 어느 곳에서도 내보이지 않았던 진솔한 이야기를 펼쳐 낸다. 막다른 골목을 만나 가로막힐 때마다 그녀를 구원한 건 좌절하지 않고 과감하게 생각의 방향을 틀어버리는 ‘유턴 정신’. 계획대로 일이 흘러가지 않아도 “오히려 좋아!”라고 외치며 위기를 기회로 삼고, 홧김에 산 물건이라도 어떻게든 쓸모를 찾아내 ‘견물생심’의 즐거움을 누리기도 했다. 이런 유쾌한 ‘정신 승리’는 누구보다 열심히 살지만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 날이 더 많은 우리에게 따뜻한 웃음과 다정한 위로로 다가온다. 글자 수 1020자.

하지만 살면서 이것이 나의 행복과 연결되어 있다는 걸 발견하며 어쩌면 마냥 걱정할 게 아니라 큰 축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와, 좋다, 좋아!”라고 많이 말하고 자주 감동하는 친구들, 동료들과의 만남이 그 생각에 힘을 보탰다. 잘 감동하는 습성은 좋은 의견에 쉽게 설득당하고, 상대방의 멋진 점을 바로 인정하고, 평범함에서 비범함을 발견하는 능력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감동하고 칭찬하는 것보단 지적하는 게 멋져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무언가를 날카롭게 평가하는 일은 ‘능력’이라 부르고, 평론가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무언가에 진심으로 감탄하고 좋은 점을 인정하는 것은 보통 능력으로 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누가 그 일을 하라고 칼 들고 협박했냐”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사람을 비난하는 ‘누칼협’이나 바닥에 떨어진 사람을 조롱하는 ‘나락밈’처럼 서로를 깎아내리고 타인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려고 혈안이 된 요즘은 오히려 좋은 점을 발견하고 경탄하는 것도 능력이지 않을까? 그걸 우리는 ‘감탄력(感歎力)’이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마침 읽고 있던 책에서 햇살 같은 문장을 만났다.

남들이 모르는 것을 알고,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이유는 결국 자신만이 갖고 있는 스토리가 있기 때문일 겁니다.

-<일을 잘한다는 것>

많은 사람이 별로라고 하는 것이 자신에게는 좋아 보인다고 해서, 그게 무조건 본인의 기준이 낮다는 뜻은 아니다. 다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볼 수 있는 이유는 자신만이 가진 ‘스토리 레이더망’에 걸려서일 수 있다는 사실. 누군가의 깊은 관심사나 고유한 이야기는 어떤 것의 좋은 점을 더 강력하게 당겨서 볼 수 있는 자석이 되기도 할 테니 말이다.

그러니 이제는 감탄을 많이 한다고 걱정하기보단 그저 그 사실에 감사하며 더 자주 감동하고 칭찬하기로 결심했다. (노력한다고 해서 마음껏 되는 것도 아니지만.) “누군가에게 비판력이 있다면, 나에겐 감탄력이 있다!”라는 자부심으로 말이다.

-김규림,<매일의 감탄력>, 웨일북, 1만6800원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