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CEO "'오겜' 감독, 10년간 투자자 찾다가 우리 팀 만났다"

배재성 2024. 5. 27. 05: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가 '오징어 게임' 시즌2 촬영 현장을 방문해 황동혁 감독의 뒤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넷플릭스의 테드 서랜도스 공동 최고경영자(CEO)가 황동혁 감독의 ‘오징어 게임’의 제작 스토리를 직접 소개했다.그는 “오징어 게임의 감독은 오징어 게임을 영화로 만들기 위해 거의 10년 동안이나 투자자를 찾아 헤맸다”며 “영화 제작 계획을 사실상 거의 포기했을 때 한국의 넷플릭스 팀을 만났다”고 말했다.

서랜도스 CEO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우리는 지금 세계 곳곳에서 콘텐트와 훌륭한 스토리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넷플릭스의) 당신이 좋아하는 작품 바로 옆에서 이전엔 볼 방법도 없었거나 이전엔 알지도 못했던 한국이나 이탈리아·스페인에서 만들어진 놀라운 스토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넷플릭스팀은 황 감독에게 “스토리가 정말 훌륭하고 작품의 세계관이 큰 것 같다”며 “(황동혁 감독이 보유한) 세계관의 상세한 부분을 포함해 설명을 좀 더 붙여서 보여주실 수 있느냐”라는 논의를 했다고 서랜도스 CEO는 말했다.

서랜도스 CEO는 “황 감독은 각본을 쓰기 시작했고, 오징어 게임을 만들었다”며 “그리고 그 작품은 전 세계에서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본 작품이 됐다”라고 언급했다.

지난 2021년 넷플릭스에 공개된 오징어 게임은 단 4주 만에 전 세계 각국 순위 차트를 휩쓴 바 있다.

서랜도스 CEO는 또 “영화나 TV 시리즈가 모국에서 통한다면 그 작품들은 그 나라 정통 작품일 것”이라며 “전 세계 관객들은 바로 그런 정통성을 고른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와 달리 미국 국내와 글로벌 관객의 입맛을 동시에 충족시키려는 시도가 할리우드 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영화의 글로벌화가 관객들과 미국 영화를 단절시켰다고 생각한다”며 “영화에 대한 애정이 줄어든 것도 바로 그 점 때문”이라고 말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