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만 되면 속수무책인 알레르기 결막염… 눈 관리 대체 어떻게?

한희준 기자 2024. 5. 26. 2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 결막염 때문에 눈이 가려울 땐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고, 냉찜질을 하자. 비비면 그 순간에는 증상이 호전되는 것 같다가도 곧 가려움증이 더 심화된다./클립아트코리아
눈이 가렵고 자주 충혈되는 알레르기 결막염 환자는 봄·여름이 괴롭다. 눈은 우리 장기 중 유일하게 점막이 밖으로 노출되는 기관으로, 미세먼지를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 등의 외부 자극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봄 여름에 흩날리는 꽃가루·미세먼지나 날이 더울 때 기승인 각종 바이러스가 눈을 공략하면 속수무책으로 당하곤 한다. 자신이 앓고 있는 결막염이 어떤 질병에 해당하는지 알면 더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알레르기 결막염은 염증을 유발하는 항원이 결막에 접촉해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바이러스성 결막염과 달리 전염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증상에 따라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봄철각결막염, 아토피각결막염, 거대유두결막염으로 구분된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은 대게 알레르기 병력을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원인 물질로는 화장품, 곰팡이, 음식물, 화학섬유, 약품 등이 있다. 집먼지 진드기나 꽃가루, 동물의 털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코가 막히고 맑은 콧물이 나는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함께 동반되며 양쪽 눈에 심한 가려움증과 이물감, 눈부심, 결막충혈 등이 나타난다. 기후변화나 외부 활동 여부에 따라 증상이 악화된다.

'봄철각결막염'은 주로 10세 이전에 발병해 사춘기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며 날씨가 건조하고 따뜻한 봄과 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결막에만 염증이 생기는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과 달리 각막에 상처가 생겨 시력에도 영향을 준다.

아토피피부염과 동반되는 '아토피각결막염'은 성인 남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천식 습진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돼 부정난시가 발생하는 원추각막, 백내장, 망막박리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다른 결막염에 비해 증상이 심하고 1년 내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거대유두결막염'은 렌즈 표면에 침착된 단백질이 변형돼 항원으로 작용하며, 콘택트렌즈 약품에 대한 알레르기로 주로 발생한다. 위눈꺼풀 결막에 0.3mm 이상의 유두가 생기고 충혈, 가려움 등을 동반한다. 주로 콘텍트렌즈가 결막에 자극을 줘서 생기기 때문에 소프트렌즈 착용자 다수와 하드렌즈 착용자의 약 1% 정도에서 이 결막염이 발견된다.

이런 알레르기 결막염은 면역체계의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파악해 제거하는 것이 맞지만 정확한 항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꽃가루, 먼지, 동물의 털, 집먼지 진드기 등 자신이 주로 어떤 상황에서 결막염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고 평소 항원을 피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집안을 청소할 땐 청소기뿐 아니라 물걸레질을 함께 해서 먼지가 날리지 않게 하고, 침구류는 2주에 한 번 뜨거운 물에 세탁하는 게 도움이 된다. 꽃가루가 날리거나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는 게 좋다.

◇눈 건강 지키는 TIP
1. 식염수 아닌 인공눈물 쓰기
눈에 이물감이 느껴질 때는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어야 한다. 눈의 건조감을 해소시키고 눈 안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세척해주는 효과가 있다. 반면, 식염수로 눈을 씻는 것은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식염수는 약이 아닐뿐더러 항균 작용이 있는 눈물을 씻어내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2. 충혈제거제 장기간 사용 금물
충혈제거제의 장기간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일부 스테로이드가 포함된 약을 장기간 넣으면 백내장, 녹내장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정확한 안과 진단 뒤 필요한 안약을 쓰는 것이 안전하다.

3. 손으로 눈 비비지 않기
알레르기 결막염의 주된 증상은 가려움이다. 가렵다고 눈을 비비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는 것 같지만 곧 증상이 악화되며, 결막 및 눈꺼풀의 부어오를 수 있다. 가려움이 심할 때는 항히스타민제 안약을 안과에서 처방받아 사용하거나 눈에 냉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4. 손 잘 씻고, 눈꺼풀 주변도 청결하게
외출 후에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고 깨끗한 수건으로 손에 물기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평소 세안할 때 눈꺼풀 가장자리를 청결하게 닦아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