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도 싼데 공짜숙박까지…외국항공 이용객, 국내항공 앞질렀다

박영우 2024. 5. 26. 17: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 항공사를 이용해 해외에 나간 승객이 국내 항공사를 이용한 승객을 넘어섰다.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나기도 했지만, 같은 시간대라도 국내 항공사보다 저렴한 항공료와 해외 곳곳으로 이어지는 공격적인 노선 확장 영향이 크다.

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외항사 국제선 승객 수는 225만3733명으로, 대한항공(136만1842명)과 아시아나항공(87만7470명) 여객 수를 합친 223만9312명보다 1만4421명 많았다. 국토부 항공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9년 1월 이래 외항사가 월간 국제선 이용자 수에서 국내 양대 항공사를 넘어선 것은 2021년 11월 이후 두 번째다.

지난달 국제선 외항사 이용객은 1년 전(149만여명)보다 50.4% 증가해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승객 증가 폭(32%)을 크게 웃돌았다. 4월 전체 국제선 이용객(약 689만명) 비중은 외항사가 32.7%,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32.5%, 나머지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다.
정근영 디자이너


공격적인 마케팅·직항 노선 확대


외항사를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다. 인천공항의 하루 이용객은 올해 1월 기준 20만명을 돌파했다. 코로나 19 이후 4년 만이다. 여기에 외항사의 공격적인 노선 확장도 배경으로 꼽힌다. 지난달 기준 인천공항에서 여객 노선을 운항한 외항사는 64개로, 2년 전(40개)보다 60% 증가했다.
에티하드항공 더 레지던스 좌석 모습. 에티하드항공은 5월부터 인천~아부다비 노선을 주 7회에서 11회로 늘렸다. 카타르항공도 지난달부터 인천~도하 노선을 주 7회에서 8회로 증편했다. 사진 에티하드 항공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중동 항공사다. 풍부한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에미레이트항공은 2월 중순부터 인천∼두바이 노선 운항 횟수를 주 7회에서 10회로, 에티하드항공은 5월부터 인천∼아부다비 노선을 주 7회에서 11회로 늘렸다. 카타르항공도 지난달부터 인천∼도하 노선을 주 7회에서 8회로 증편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항공사인 사우디아는 지난해 초 30년 만에 인천∼리야드 직항 노선을 부활시켰다.

중동 항공사들은 비즈니스 등으로 중동을 찾는 직항 수요와 중동을 거쳐 유럽이나 아프리카 대륙으로 가는 환승 수요를 모두 잡으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예컨대 에티하드항공은 아부다비 머무는 탑승객에게 3성급 호텔 숙박권(2박)을 무료로 제공한다. 다른 항공사보다 최신 비행기라는 점을 앞세우거나 기내 무료 와이파이 같은 서비스도 제공한다.

정근영 디자이너

미국과 유럽 항공사들도 한국 하늘길을 넓히고 있다. 이달 초 독일 루프트한자그룹의 스위스항공이 27년 만에 인천∼취리히 주 3회 직항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미국 델타항공도 인천∼애틀랜타 노선을 증편했다. 인천~애틀랜타 노선은 현대차 등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를 할 만큼 비즈니스 수요가 가장 많은 노선으로 꼽힌다. 평균 탑승률은 92% 수준이다.

델타항공이 인천~애틀랜타 노선에 투입 중인 A350-900. 사진 델타항공

국내 대형 항공사보다 저렴한 가격도 인기 요인이다. 특히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저렴한 항공편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다. 같은 시간대라도 외항사 항공권 가격이 국내 대형 항공사보다 수십만원 저렴한 경우도 있다. 국내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럽 등 새로운 도시 전세기 취항, 내국인에게 특화된 국적기 서비스를 통해 점유율 회복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영우 기자 novembe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