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도 가성비?…의외의 결과

김현경 2024. 5. 26. 11: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외국 항공사를 이용해 해외로 출국한 승객 수가 국내 대형 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국제선 승객을 더한 수치보다 이례적으로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2021년 말은 국내 방역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면서 국적 항공사 운항이 늦어졌지만, 비교적 입국 규제 해제가 빨랐던 외국의 항공사들은 공급을 다시 늘리던 시기"라며 "사실상 정상 운항 상황에서 외항사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승객 수를 넘은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 외국항공사 국제선 승객, 대한항공·아시아나 추월
2021년 11월 이후 두번째…"사실상 정상운항 상황에선 처음"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지난달 외국 항공사를 이용해 해외로 출국한 승객 수가 국내 대형 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국제선 승객을 더한 수치보다 이례적으로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토교통부·한국항공협회 항공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외항사 국제선 승객 수는 225만3천733명으로, 대한항공(136만1천842명)과 아시아나항공(87만7천470명)의 223만9천312명보다 1만4천421명 많았다.

지난달 국제선 외항사 이용객은 1년 전(149만여명)보다 50.4% 증가하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승객의 증가 폭(32%↑)을 크게 웃돌았다. 4월 전체 국제선 이용객(약 689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외항사가 32.7%,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32.5%였고, 나머지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였다.

국토부 항공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9년 1월 이래 외항사가 월간 국제선 이용자 수에서 국내 양대 항공사를 넘어선 것은 2021년 11월 이후 두 번째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당시 외항사 승객은 17만5천여명으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17만4천여명)을 근소하게 앞섰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2021년 말은 국내 방역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면서 국적 항공사 운항이 늦어졌지만, 비교적 입국 규제 해제가 빨랐던 외국의 항공사들은 공급을 다시 늘리던 시기"라며 "사실상 정상 운항 상황에서 외항사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승객 수를 넘은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외항사 승객이 유독 증가한 것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고 한국 국민의 해외여행도 증가하면서 외항사들이 노선을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기준 인천공항에서 여객 노선을 운항한 외국 항공사 수는 64개로, 2년 전(40개)보다 60% 증가했다.

외항사들은 한국 하늘길을 더욱 넓히고 있어 승객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초에는 독일 루프트한자그룹의 스위스항공이 27년 만에 인천∼취리히 주 3회 직항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미국 델타항공도 인천∼애틀랜타 노선을 증편했다.

외항사의 인기는 저렴한 항공권이 주요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외항사는 같은 시간대의 항공편을 국내 항공사보다 수만원∼수십만원 싸게 팔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