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고소득에도 국제결혼… 80%는 40대 이상

오상훈 기자 2024. 5. 26.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결혼 중개업체 이용자들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여성가족부는 한국사회학회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최근 3년간 결혼중개업체 이용자와 2022년 말 기준 등록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제결혼 중개업체 이용자들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여성가족부는 한국사회학회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최근 3년간 결혼중개업체 이용자와 2022년 말 기준 등록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용자의 10명 중 8명 이상은 40대 이상으로, 2014년 첫 조사 이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 살펴보면 이용자의 과반인 50.6%가 ‘대졸 이상’으로, 2020년 조사보다 6.8%p 증가했다. 이들 중 70.5%는 임금 근로자였다. 월평균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 34.8%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0만원~399만원(29.1%), 200만원~299만원(28.9%), 199만원 이하(7.2%)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외국인 배우자 국적은 베트남이 80%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 캄보디아(11.9%), 우즈베키스탄(3.1%), 태국(2.9%) 순이엇다. 연령별로는 20대가 60.6%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19세~24세가 37.3%, 25세~29세가 23.3%였다.

이용자는 주로 ‘온라인 광고’(47.4%)를 통해 업체를 알게 됐다고 응답했고, 외국인 배우자는 대개 ‘현지중개업 직원’(56.8%)을 통해 맞선 주선자를 알게 됐다고 응답했다.

결혼식까지는 평균 9.3일이 걸렸다. 2020년(5.7일)과 2017년(4.4일) 수치를 비교했을 때 6년 만에 2배 이상 길어진 것으로, 외국인 배우자를 선택할 때 좀 더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용자가 중개비용으로 업체에 지불한 평균 금액은 1463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외 입국 전 생활비, 예단비, 현지 혼인신고 비용 등이 추가로 469만원이었다. 직전 조사에 비해 중개비용이 각각 91만원, 190만원 증가했다.

여가부는 결혼중개업법에 따라 3년마다 결혼중개업의 운영 실태 및 이용자의 피해 사례 등을 파악하고 있다. 이번이 네 번째 조사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와 그 배우자의 학력·소득이 높아지고 결혼중개업 공시제도 활용, 신상정보 사전 제공, 현지 맞선 관행 등 결혼중개 문화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불법 중개행위에 따른 일부 피해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며 “불법 중개 행위에 대한 예방과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