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상황!" 실감 나는 훈련…'아파트 한 채 값' 비행장치 비밀

고석현, 오삼권 2024. 5. 25.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대영 이스타항공 운항훈련팀장(B737 기장)이 비행훈련장치(FTD) 설명을 하고 있다. 고석현 기자


‘삐삐-’

귓속을 찌르는 경고음과 함께 조정 간 각종 버튼이 깜빡이기 시작했다. 서울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공항으로 향하려던 B737-8 항공기 엔진이 과열시동된 탓이다. 기장은 “기체 시동 중 넘버원 엔진이 ‘핫 스타트’(과열시동)할 것으로 예상해 긴급조치를 했다”고 알렸다.

지난 21일 서울 강서구 이스타항공 훈련센터. 라대영 이스타항공 운항훈련팀장(B737 기장)은 “각종 상황에 대한 사전 훈련을 체득해둬야 비상시 빠른 대처가 가능해 이곳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자사가 보유한 B737-8, B737-800 기체에 대한 비행훈련장치(FTD)를 새로 도입했다. 라 팀장은 “FTD가 ‘서울 아파트 한 채 값’”이라고 귀띔했다.

B737-8 조종석을 그대로 빼닮은 훈련 장치엔, 버튼 수십 개와 계기판이 빼곡했다. 부기장석에 앉자 유리창 앞 스크린엔 김포공항 게이트가 꽉 차게 들어왔다. 옆에선 다른 항공기가 쉴 새 없이 이·착륙하거나, 화물이 움직이고 있었다. 임균철 이스타항공 운항기술팀 차장은 “컴퓨터그래픽으로 구현한 것이지만, 실제 김포공항에서 조종간을 잡았을 때와 똑같이 구현돼 있다”라고 말했다. 악천후를 비롯해 항공기 엔진 고장, 윈드시어(급변풍),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등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100여 종 이상의 비정상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지난 21일 서울 강서구 이스타항공 훈련센터에서 비행훈련장치(FTD) 시연을 하고 있는 라대영 이스타항공 운항훈련팀장(왼쪽)과 오삼권 중앙일보 기자. 고석현 기자
비행훈련장치(FTD)의 계기판은 실제 이스타항공이 운용중인 B737-8의 조종석과 동일하게 구현됐다. 고석현 기자


비록 4차원(4D) 효과가 적용되진 않았지만, 기체를 조종할 땐 FTD 장비가 실제로 움직이는 듯한 느낌도 들었다. 다이내믹하게 움직이는 스크린과 소음·진동 등이 실제 비행 환경과 비슷하게 구현된 덕분이다. 활주로를 달려 조종간을 당기자 기체가 ‘부웅~’ 떠오르는 느낌이 생생하게 느껴졌다. 아시아·유럽·미주 등에 위치한 공항 70여 곳을 배경으로 훈련할 수 있다.

최근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안전 역량 향상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제주항공·에어프레미아 등도 FTD를 도입해 운항 승무원의 안전 비행 능력을 점검 중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사고 발생 시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큰 만큼 사전 대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오삼권 기자 oh.samg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