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기자들과 '김치찌개 만찬' 소통…"조언·비판 듣고 국정 운영"(종합2보)

서소정 2024. 5. 24. 23: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잔디마당으로 기자들 초청
尹대통령, 음식 직접 만들고 배식까지
'윤석열표 김치찌개' 레시피 전수도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김치찌개를 배식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렇게 분위기가 좋은데 미리 자주 할 것을, 미안하게 생각합니다. 앞으로 자주 하겠습니다."

취임 3년차를 맞은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오후 6시부터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출입기자 200여명을 초청해 '대통령의 저녁 초대'라는 제목으로 만찬 행사를 열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직접 고기를 굽고, 김치찌개와 계란말이를 기자들에게 나눠주면서 적극 소통 행보에 나섰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2022년 3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 앞에 마련된 천막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취임 후 김치찌개를 끓여주겠다'고 기자들에게 약속했는데, 그 약속이 약 2년2개월 만에 이뤄진 셈이다.

尹, 계란말이 직접 요리…기자들 탄성

윤 대통령은 인사말을 통해 "여러분들한테 아마 후보 시절 한 예능 프로그램 '집사부일체'에 나온 계란말이와 김치찌개를 대접하겠다고 약속을 했는데, 벌써 2년이 지나도록 못 했다"며 "오늘도 양이 많아서 제가 직접은 못 했고, 우리 운영관한테 레시피를 적어줘서 이것대로 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날씨도 좋은데, 저녁 시간 긴장 좀 풀고 편안하게 같이 담소도 하고 즐겨 주시기 바라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윤 대통령은 정진석 비서실장 등 3실장, 7수석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주요 참모진과 함께 한우와 돼지갈비, 오겹살, 닭꼬치 등 음식을 직접 준비했다. 앞치마를 두른 윤 대통령과 참모진들은 직접 고기를 숯불 석쇠에 구워 기자들에게 배식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윤석열표 레시피'로 만든 김치찌개를 기자들에게 직접 배식했다. 김치찌개는 윤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가장 자신 있다고 말한 음식이다. 윤 대통령은 기자들 앞에서 직접 계란말이를 만들어 나눠주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달군 프라이팬에 계란물을 붓고 양 손에 든 뒤집개로 모양을 잡으면서 수준급의 계란말이를 완성해 현장에서 지켜보던 기자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계란말이를 만들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윤 대통령이 기자단과 식사를 함께한 것은 약 1년 만이다. 지난해 5월2일 대통령실 앞 '파인그라스' 마당에서 기자단 오찬 행사에 예고 없이 등장한 이후 처음이다.

이날 기자단 만찬은 취임 3년 차에 접어든 윤 대통령의 소통 강화 목적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4·10 총선 참패 이후 "저부터 바뀌겠다"며 소통 강화를 다짐한 바 있다. 지난 9일에는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열어 "앞으로 언론과 소통을 더 자주 하고 언론을 통해 국민께 설명하고 이해시켜 드리겠다"고 말했다.

尹 "조언과 비판 듣고 국정 운영해 나가겠다"

이날 만찬에는 안동 한우와 완도 전복, 장흥 버섯, 무안 양파, 강원도 감자, 제주 오겹살, 이천·당진 쌀밥, 남도 배추김치, 여수 돌산 갓김치, 문경 오미자화채, 경남 망개떡, 성주 참외, 고창 수박, 양구 멜론 등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먹거리들이 테이블에 올랐다. 술은 제공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그간 기자들과의 소통 자리를 더욱 자주 만들지 못한 데 대해 미안함을 표하면서 앞으로 소통 기회를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제가 지금 시계를 보니까 6시부터 우리가 시작했는데 사실 8시밖에 안 됐네요. 두 시간이 사실은 금방 간 것 같다"고 언급한 윤 대통령은 "여러분과 좀 더 거리를 좁히고, 시간을 더 많이 갖겠다"고 했다.

또 "언론이 정부나 정치하는 사람 입장에서 볼 때 불편하다고 얘기하신 분들이 있다"며 "그건 맞지만 언론이 없으면 지도자나 정치인 자리가 없다. 언론으로부터 비판과 공격을 받을 때도 있지만 결국 언론 때문에 저와 우리 정치인 모두가 지금 여기까지 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여러분과 더 공간적으로 가깝게 시간을 더 많이 가지며 조언과 비판을 많이 듣고 국정을 운영해 나가겠다고 다시 한번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尹 "저출생, 혁명적 수준으로 개선해야"

이날 윤 대통령은 기자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저출생 해소를 위한 의지도 거듭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저출생은 혁명적인 수준으로 개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돈이 없어 아이를 낳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신한 기자가 대표 발언을 통해 "셋째까지 낳는 게 꿈이다",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뱃속의 아기에게 동생을 만들어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하자 "정신이 번쩍 나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금, 노동, 교육, 의료, 저출생이 5대 핵심 과제이고 특히 저출생은 혁명적인 수준으로 개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어떻게 보면 저출생은 모든 과제가 다 연결되어 있는 가장 핵심적인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예를 들어 의료개혁도 저출생 문제에 다 연결돼 있다"며 "소아 필수의료 체계가 잘 확립돼 있어야 안심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지 않겠나"라고 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현재 정부가 돈이 없어 아이를 낳지 못하거나 키우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국가 책임주의를 표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언론과의 소통 행보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도어스테핑이 아쉽게 마무리됐는데 국민의 알권리 충족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보다는 한 달에 한두번 특정 이슈에 대한 국정브리핑을 하는 게 차라리 낫지 않겠나 고민도 했었다. 앞으로 기자들과 자주 소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언론과 자주 소통하는 분위기 속에서 평생 공직 생활을 했기 때문에 언론을 배척하거나 불편해한 적은 없다"며 "공직사회와 언론과의 관계도 언제부턴가 경직된 거 같은데 앞으로 자주 보자"고 덧붙였다.

외교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 정부가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는 언급도 나왔다. 윤 대통령은 "외교, 안보, 공급망 이슈 등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기자들과 국내 정치 못지않게 국가의 미래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하고 싶다"며 "기자들의 관심이 국내 정치 현안에만 쏠린 것 같아 아쉬울 때가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식사 후 각 테이블을 돌며 참석자 전원과 일일이 인사했다. 기자들이 "언론과 직접 소통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하자 윤 대통령은 "또 만들겠다"고 화답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가 '글로벌 스탠다드' 중추 국가를 지향하는 것에 걸맞게 정부가 지원하는 언론인 해외 연수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만찬 행사에는 출입 기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서는 정진석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홍철호 정무수석, 이도운 홍보수석, 김주현 민정수석, 전광삼 시민사회수석, 박춘섭 경제수석, 장상윤 사회수석, 박상욱 과학기술수석 등 주요 참모진이 함께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