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인 문제 있다" ABS 도입 미룬 MLB, KBO리그 관심 더욱 커졌다 [IS 이슈]

배중현 2024. 5. 24. 13: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롭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 관련 입장 밝혀
ABS 시스템에 따라 인이어로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듣고 선언하는 심판의 모습. IS 포토


미국 메이저리그(MLB)가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 도입을 미루면서 KBO리그를 향한 관심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롭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는 "아직 기술적인 문제(technical issues)가 있다. 올해 마이너리그에서 우리가 기대했던 것만큼 많은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며 2025년까지 도입이 쉽지 않다는 의사를 24일(한국시간) 밝혔다.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은 이날 'ABS가 언젠가 도입될 수 있지만 2025시즌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날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구단주 회의를 마친 맨프레드 커미셔너는 "최소 2026년까지 (제도 도입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시간을 더 들여 제대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동일한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것"이라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MLB 사무국은 2019년 독립리그부터 경기에 ABS 시스템을 도입, 실험하고 있다. ABS는 심판의 주관적 판정이 아닌 기계에 설정된 가상의 존을 통과한 공에만 스트라이크콜이 불린다. 포수 뒤에 있는 심판은 인이어로 판정 내용을 들은 뒤 그대로 선언만 한다. MLB는 스트라이크존 설정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룰북에 명시된 스트라이크존과 ABS존의 괴리를 어떻게 좁히느냐가 관건. MLB닷컴은 '스트라이크존의 정의와 개별 타자에 대한 스트라이크존 설정은 선수 신장 비율이나 카메라 시스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라고 전했다. 

롭 맨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 게티이미지


선수들은 ABS 챌린지를 더 선호한다. ABS 챌린지는 선수가 스트라이크와 볼에 이의를 제기하면 해당 공에 대한 '판독'을 진행한다. ABS에 따라 포수의 프레이밍(미트질) 중요성이 약화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맨프레드 커미셔너는 "프레이밍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면 그 포지션을 차지할 선수가 달라질 수 있다"며 "수비에 집중하는 프리미엄 포수 대신 공격적인 포수가 포지션을 맡는 세상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이는 커리어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다리에 뛰어내리기 전에 충분히 생각해야 할 실제적이고 정당한 우려"라고 말했다.

눈길이 쏠리는 건 KBO리그다. 올 시즌 MLB와 일본 프로야구(NPB)에 앞서 ABS를 1군에 적용, 제도 안착 여부가 관심사다. MLB에서 의견이 엇갈리는 스트라이크존은 타자 키에 따라 각기 달리 운영하고 있다. 신장의 56.35%, 하단은 선수 신장의 27.64% 위치가 기준. 키가 1m80㎝인 선수라면 상단은 101.43㎝, 하단은 49.75㎝, 1m9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107.7㎝, 52.52㎝다. 타격 자세에 따른 보정은 없다. ABS 체제에선 스트라이크존의 좌우 기준도 홈 플레이트(43.18㎝)에서 좌우 2㎝씩 확대 적용된다.

KBO가 지난달 26일 공개한 류현진의 24일 수원 KT전 3회 조용호 타석 3구째 투구 결과. KBO 제공


기계가 판정하는 만큼 일관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부분을 팬들도 적극적으로 환영한다. 그런데 현장에선 크고 작은 혼란이 끊이지 않는다. 류현진(한화 이글스)이 ABS 판정 관련 쓴소리를 내뱉자, KBO가 며칠 뒤 일부 투구 추적 데이터를 언론에 공개하기도 했다. 황재균(KT 위즈)은 ABS 판정에 격분, 헬멧을 집어 던져 퇴장당한 뒤 인터뷰를 자처해 "도저히 납득할 수 없어서 항의했다. 선수들과 충분한 상의 없이 (KBO가) ABS를 성급하게 추진한 거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장마다 스트라이크존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달 초 ABS 정확성 테스트 결과를 발표하고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가 KBO에 질문서를 보내는 등 진통을 겪었다. 선수협은 "선수들의 의견을 지속해서 취합, ABS 안착을 위해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