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구청 앞 광장 ‘도심 속 작은 정원’ 조성

김민진 2024. 5. 24.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중구가 구청 앞 광장을 꽃으로 수놓았다.

구청 앞 꽃밭은 마을정원사 양성 과정의 일환으로 주민 교육생 11명과 정원사가 조성한 실습정원이며 오는 7월까지 볼 수 있다.

이은진 마을정원사는 "선생님과 다른 정원사들과 함께 작품을 만든다는 게 좋다. 내가 만든 작품이 구청 앞에 놓여 뿌듯하고 도심 한가운데에서 이런 꽃들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좋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을정원사 양성 과정 실습정원 만들어
마을정원사 양성 과정 교육생들이 꽃밭을 조성하고 있다. 중구 제공.

서울 중구가 구청 앞 광장을 꽃으로 수놓았다. 구청 앞 꽃밭은 마을정원사 양성 과정의 일환으로 주민 교육생 11명과 정원사가 조성한 실습정원이며 오는 7월까지 볼 수 있다. 교육생들은 총 5개의 정원을 꾸몄고 각각의 정원에 이름도 붙였다. 화초류 하나하나까지 세심히 골라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어 의미를 담았다.

23일 이른 아침부터 구청에 모인 이들은 때 이른 더운 날씨에 구슬땀을 흘리며 정원을 완성했다. 이은진 마을정원사는 “선생님과 다른 정원사들과 함께 작품을 만든다는 게 좋다. 내가 만든 작품이 구청 앞에 놓여 뿌듯하고 도심 한가운데에서 이런 꽃들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좋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구는 구민들이 정원을 가꾸고 초록을 만끽할 수 있도록 △마을정원사 양성 과정과 △정원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일상에서 자신만의 작은 정원을 곁에 두는 법’을 알려줘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마을정원사 양성 교육’은 10회 과정으로 매주 목요일에 진행된다. 정원 식물의 종류·재배 방법부터 정원 디자인까지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전 과정’을 배운다. 이번 기수엔 총 11명의 마을정원사가 탄생할 예정이다. 교육을 이수한 마을정원사들은 향후 관내 공원·녹지·정원 등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기간제근로자 모집 등에 지원할 때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정원 체험 프로그램’에선 분갈이 및 관리 방법, 카네이션 화분 만들기 등 일상에서 초록을 즐길 수 있는 내용을 다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들에게 ‘즐겁고 유익한 시간이었으며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호평을 받았다.

최근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숲을 조성하는 등 도심 속 녹색 공간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도시숲은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탄소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까지 가져다준다. 빌딩숲 속에서 끝없이 경쟁하며 지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잠깐의 휴식을 가져다주는 안식처가 되어주기도 한다.

중구청 앞 '도심 속 작은 정원' 모습. 중구 제공.

중구는 도심 한가운데 위치해 녹색 공간이 더욱 귀하다. 구는 개인이 만드는 작은 골목정원 하나하나가 모이면 빌딩숲 사이에서도 녹색공간, 도시숲을 이룰 수 있다고 봤다. 이에 구민들에게 일상에서 작은 정원을 누리는 법을 알려줘 도심 곳곳에 정원을 펼치고 구민들이 녹색 휴식을 즐길 수 있게 돕는다.

이외에도 최근 ‘응봉친화숲길’을 개통해 구민들이 초록을 잔뜩 만끽하며 걸어서 남산까지 갈 수 있게 했다. 계단과 턱이 없어 노약자, 임산부도 쉽게 오를 수 있는 데다 도심 한가운데 펼쳐지는 숲속에서 힐링할 수 있어 주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구 관계자는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중구에서도 구민들이 녹색 공간을 만끽할 수 있게 다양한 시도를 계속할 것”이라며 “눈길 닿는 곳마다 녹음을 가득 펼쳐드릴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