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과 함께 뽕잎을 따 차를 만들었습니다

이숙자 2024. 5. 24. 1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매년 나는 나를 위한 뽕잎차를 만든다.

뽕잎차 효능에는 당뇨에 좋다는 말을 듣고부터 매년 뽕잎차를 만들어 마시기 시작했다.

뽕잎차 감잎차는 오월 중순부터 유월 초순까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맛 좋고 효능 많은 뽕잎차 직접 만들기 좋은 계절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숙자 기자]

형님이 하늘로 가신지 삼일째, 삼우제를 지내는 날이라서 큰집에 갔다. 주인 잃은 앞마당의 하얀 작약꽃도 왠지 쓸쓸하고 허전하다. 세상의 시간은 여전하고 한결같이 흐르고 있다. 이승을 떠난 사람은 떠나고 남은 자들은 또 자기만의 시간표대로 살아간다(관련 기사: '형님', 목이 메어 애달프게 부르는 마지막 한 마디 https://omn.kr/28rfi ).

11시에 큰집에 모여 산소에 가자는 조카의 전화가 있었지만 남편과 나는 조금 이른 시간에 큰집에 도착했다. 뽕잎을 땄다. 매년 나는 나를 위한 뽕잎차를 만든다.

나는 몇 년 전부터 당뇨가 오기 시작하면서 먹는 것에 신경을 써야 했다. 매일 마시는 차도 마찬가지다. 뽕잎차 효능에는 당뇨에 좋다는 말을 듣고부터 매년 뽕잎차를 만들어 마시기 시작했다.
 
▲ 뽕나무에서 따온 뽕잎 뽕 잎을 알맞은 시기에 따서 다듬는 동안 기분이 좋았다
ⓒ 이 숙자
차 만드는 일도 알맞은 시기가 있다. 모든 것은 시기가 있기에 그때를 놓치면 안 될건 없지만 가장 적당한 시기를 놓치면 그 싱그러움이 덜하게 된다. 뽕잎차 감잎차는 오월 중순부터 유월 초순까지다. 너무 늦으면 잎이 연하지를 않고 싱그러운 맛이 덜 하다.

다 때가 있다

다행히 큰댁 뒤뜰 밭 가장자리에 뽕나무 몇 그루가 있다. 매년 그 뽕나무에서 뽕잎을 따다가 뽕잎차를 만든다. 무슨 일이든 처음 하면 어렵지만 그 일도 하다 보면 익숙해져 망설임 없이 차를 만들기 시작했다. 

오랫동안 차 생활을 해 오면서 계절을 맞이하고 자연의 흐름을 알고 산다는 것은 언제나 설렘이다. 매번 같은 재료로 차를 만들지만 맛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시기와 정성, 그리고 만드는 과정이다.

뽕잎도 혼자 따면 힘들 수 있을 텐데 항상 남편이 곁에서 도움을 주니 고마운 일이다. 집에 와서 바구니에 쏟아놓으니 제법 많다. 맨 먼저 줄기와 잎을 분류를 해서 세척을 한 다음 물기를 빼야 한다. 하루가 지난 다음 다시 잎을 하나하나 포개여 가위로 썰어야 한다. 혼자가 아닌 남편과 함께 하니 쉽게 작업할 수 있다. 

나이든 노인의 삶은 자칫 무료할 수 있는 날들이지만, 나는 이렇게 남편과 함께 놀이를 찾아 즐긴다.  
 
▲ 뽕잎을 가위로 자른 모습 뽕 잎은 세척을 해서 물기를 하룻밤 뺀 후 가위로 잘게 자른다.
ⓒ 이 숙자
                 
▲ 찻잎 덖어 유념하기 푸라이 팬에서 덖고 바구니에 유념을 한다.
ⓒ 이 숙자
                                                      
▲ 2번 덖은 차 2번 덖고 유념하여 건조 시키는 과정
ⓒ 이 숙자
     
뽕잎차 만들기 순서
1. 뽕잎을 따 온 후 나뭇가지 같은 걸 분류한다. 
2. 세척을 해서 하루쯤 물기를 뺀다.
3. 뽕잎을 한 잎씩 모아 자른다.
4. 자른 뽕잎은 물기가 마르도록 하룻밤 건조한 후
5. 커다란 프라이팬에 면 장갑을 끼고 덖는다. 
6. 덖어서 뜨거울 때 유념(비비는 과정)을 한다. 유념은 찻잎의 부피를 줄이고 차가 잘 우러나오도록 상처를 내기 위해서다.
7. 습기가 남아 있기 때문에 그늘에 펴서 건조를 하면 끝난다.
 
▲ 뽕잎 차 약간 건조가 덜 된 차를 우린 뽕잎차
ⓒ 이 숙자
뽕잎차, 이렇게 정성을 다해 만든 차는 언제 마셔도 정겹다. 맛도 싱그럽다. 이제 즐기기만 하면 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기자의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