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너무 빨랐나? "문제 있다" MLB, 2025시즌까지 ABS 도입 불가 방침

배중현 2024. 5. 24. 09: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롭 맨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 게티이미지


24일(한국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롭 맨프레드 메이저리그(MLB) 커미셔너는 2025시즌까지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을 도입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맨프레드 커미셔너는 "아직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technical issues)가 있다"며 "올해 마이너리그에서 우리가 기대했던 만큼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2025년 MLB 도입 여부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친 셈이다.

MLB 사무국은 2019년 독립리그인 애틀랜틱리그부터 경기에 ABS 시스템을 도입, 오류 등을 수정하며 향후 MLB 적용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ABS는 심판의 주관적 판정이 아닌 기계에 설정된 가상의 존을 통과한 공에만 스트라이크콜이 불린다. 포수 뒤에 있는 심판은 인이어로 판정 내용을 들은 뒤 그대로 선언만 한다. 하지만 기대했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MLB와 선수협회가 집중하는 문제 중 하나는 ABS존이다.

룰북에 명시된 스트라이크존과 ABS존의 괴리를 어떻게 좁히느냐가 관건이다. 맨프레드는 "이번 회의(구단주)에서 배운 것 중 하나는 선수들이 이 기능을 본격적으로 사용할 경우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 시즌 KBO리그는 전 세계 최초로 ABS를 첫 도입, 시행 중이다. 타자 키에 따라 각기 다른 스트라이크존이 적용되고 있다. 선수 신장의 56.35%, 하단은 선수 신장의 27.64% 위치가 기준. 키가 1m80㎝인 선수라면 상단은 101.43㎝, 하단은 49.75㎝, 1m9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107.7㎝, 52.52㎝다. 타격 자세에 따른 보정은 없다. ABS 체제에선 스트라이크존의 좌우 기준도 홈 플레이트(43.18㎝)에서 좌우 2㎝씩 확대 적용된다.

현장에선 크고 작은 혼란이 있다. 류현진(한화 이글스)이 ABS 판정 관련 쓴소리를 내뱉자, KBO가 며칠 뒤 일부 투구 추적 데이터를 언론에 공개하기도 했다. 황재균(KT 위즈)은 ABS 판정에 격분, 헬멧을 집어 던져 퇴장당한 뒤 인터뷰를 자처해 "도저히 납득할 수 없어서 항의했다. 선수들과 충분한 상의 없이 (KBO가) ABS를 성급하게 추진한 거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장마다 스트라이크존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달 초 ABS 정확성 테스트 결과를 발표하고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가 KBO에 질문서를 보내는 등 진통을 겪었다.

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ABS에 따라 이어폰으로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수신하는 KBO리그 심판의 모습. IS 포토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