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기 쪽팔린다"…'개근 거지' 놀림에 펑펑 우는 아이들

방제일 2024. 5. 24. 08: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초등학생 자녀가 친구들로부터 '개근 거지'라고 놀림을 받았다는 가장의 사연이 전해졌다.

아들이 친구에게 들었다는 개근 거지라는 신조어에 대해 A씨는 "당연히 모든 세대만의 분위기나 멍에가 있겠지만 저는 그냥 없으면 없는 대로 자라고 부모께서 키워주심에 감사하면서 교복도 가장 싼 브랜드 입고 뭐 사달라고 칭얼거린 적도 없었다"며 "아이는 최신 아이폰에 아이패드까지 있다. 제 핸드폰은 갤럭시 S10"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만 있는 얘기인줄 알았는데 직접 겪어
'개근 거지' 경쟁 사회 그대로 반영한 신조어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초등학생 자녀가 친구들로부터 '개근 거지'라고 놀림을 받았다는 가장의 사연이 전해졌다. '개근 거지'란 학기 중 체험학습을 가지 않고 꾸준히 등교하는 학생들을 비하하는 신조어다. 이 남성은 뉴스에서나 보던 일을 실제로 겪을 줄은 몰랐다고 하소연했다.

'개근 거지'란 학기 중 체험학습을 가지 않고 꾸준히 등교하는 학생들을 비하하는 신조어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사진=문호남 기자 munonam@]

23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개근 거지라는 게 그냥 밈인 줄 알았는데 우리 아들이 겪어버렸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초등학교 4학년 아들을 둔 아버지라는 A씨는 "어제 아들이 '친구들이 개거라고 한다'고 울면서 말하더라"라며 "개거가 뭔가 했더니 '개근 거지'더라"고 했다.

A씨는 외벌이로 월 실수령액이 300~350만원가량이다. 이 가운데 생활비와 집값을 갚고 나면 여유 자금이 없다. A씨는 "학기 중 체험 학습이 가능하다는 안내는 받았는데 안 가는 가정이 그렇게 드물 줄은 생각도 못 했다"고 말했다. 이에 국내 여행이라도 다녀올까 하는 생각이었지만 아이는 해외여행을 가고 싶다는 눈치였다.

A씨는 "경주나 강릉, 양양 같은 곳을 알아보자고 컴퓨터 앞에 데려갔는데 '한국 가기 싫다'며 '어디 갔다 왔다고 말할 때 쪽팔린다' 한다"며 "체험학습도 다른 친구들은 괌, 싱가포르, 하와이 등 외국으로 간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A씨는 아내와 상의 끝에 결국 아내와 아들 둘이서만 해외로 가기로 결정했고, 저렴한 항공권을 알아보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 때도 그랬지만, 비교 문화 극에 달해"

아들이 친구에게 들었다는 개근 거지라는 신조어에 대해 A씨는 "당연히 모든 세대만의 분위기나 멍에가 있겠지만 저는 그냥 없으면 없는 대로 자라고 부모께서 키워주심에 감사하면서 교복도 가장 싼 브랜드 입고 뭐 사달라고 칭얼거린 적도 없었다"며 "아이는 최신 아이폰에 아이패드까지 있다. 제 핸드폰은 갤럭시 S10"이라고 말했다. 이어 "요즘 정말 비교문화가 극에 달한 것 같다. 결혼 문화나 허영 문화도 그렇고 참 갑갑하다. 사는 게 쉽지 않다"고 한탄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 글을 본 누리꾼은 "뉴스에서만 들어서 그냥 뜬소문이겠지 했는데, 참 씁쓸하다", "자녀가 부모 연봉 묻는 시대가 됐다", "비교 문화는 앞으로 더 심해질 것","안타깝지만 지금 세태를 고스란히 반영된 말이 개거다" 등의 반응이 있었다.

실제 딩크족(자녀가 없는 맞벌이 부부) 등 무자녀 가구들은 '자녀를 갖지 않는 이유'로 시간·경제적 여유 외에도 경쟁이 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꼽았다.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가 저출산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정책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한 첫 번째 '패밀리스토밍' 자리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이 행사에 참여했던 한 시민은 "오죽하면 개근하는 아이들을 여행을 못 가는 거라고 비하하는 '개근 거지'라는 말까지 나왔겠나"라며 "아이들끼리 비교하는 문화가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