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된 '모바일 선물하기'…미소 짓는 이커머스업계

이나영 2024. 5. 24. 0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이커머스업계의 모바일 선물하기 서비스 매출이 큰 폭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SG닷컴 관계자는 "신뢰도 높은 상품을 번호만 알면 간편하게 마음을 전할 수 있다는 장점에 힘입은 결과"라며 "선물하기 편의성을 꾸준히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22년 5조원 수준이던 국내 모바일 선물하기 시장 규모는 오는 2027년 1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소비 일상화에 선물도 모바일로
화장품부터 향수, 골프, 가전까지 다양
선물하기.ⓒG마켓 앱 캡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이커머스업계의 모바일 선물하기 서비스 매출이 큰 폭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을 할 수 있는 상품이 다양해진 데다 받는 사람의 주소를 물어볼 필요가 없는 간편함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SSG닷컴의 선물하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3% 신장했다.

매출 기준 전통적인 인기 선물 카테고리인 뷰티 비중이 약 41%로 가장 높았다. 특히 단독 구성으로 선보이는 메이크업 상품, 니치 향수 등이 인기를 끌었다.

또한 스포츠·레저 카테고리에서는 골프, 등산, 요가 관련 용품이 잘 팔렸고 일상 카테고리에선 접시, 글라스 등이 높은 주문량을 기록했다.

SSG닷컴 관계자는 “신뢰도 높은 상품을 번호만 알면 간편하게 마음을 전할 수 있다는 장점에 힘입은 결과”라며 “선물하기 편의성을 꾸준히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G마켓에서도 e쿠폰 선물하기 매출이 53%로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이 밖에 가방·잡화(35%), 꽃·이벤트 용품(29%), 구기·라켓(26%), 음향기기(19%) 등의 선물 수요도 컸다.

G마켓 관계자는 “e쿠폰을 제외하면 스마트워치 선물이 상위권”이라며 “최근에는 꽃 선물하기 셀렉션을 강화해 작약 등이 선물하기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고 말했다.

티몬의 경우 이 기간 전체 카테고리의 선물하기 매출이 121% 뛰었다.

높은 매출 신장세를 보인 주요 카테고리로는 ▲국내여행(473%) ▲식품·건강(340%) ▲e쿠폰(146%) 등이 꼽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내여행 부문에서는 테마파크 이용권, 식품·건강은 쌀·잡곡, e쿠폰은 편의점·마트 등이 인기를 얻었다.

롯데온 역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 ‘요즘 선물 뭐함?’을 주제로 선물하기 기획전을 진행해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행사 기간 선물하기 서비스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0% 늘었다. 특히 가정의 달 선물로 인기 있는 뷰티, 럭셔리, 가전, 식품 등이 두 자릿수 성장했다.

모바일 선물하기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22년 5조원 수준이던 국내 모바일 선물하기 시장 규모는 오는 2027년 1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3월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15조944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