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석천의 컷 cut] 자기 존엄을 잃은 자, 노예일 뿐이다

2024. 5. 24. 00: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영화 ‘쇼생크 탈출’은 제목 자체가 스포일러다. ‘쇼생크’라는 감옥에서 ‘탈출’하는 이야기라는 것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을 터. 문제는 ‘무엇을 위해’ ‘어떻게’ 탈출하느냐다. 탈출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장장 20년간에 걸쳐 주인공이 탈출해나가는 과정을 지켜보며 우리 자신을 억압하고 있는 것들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컷 cut

잘나가는 은행가였던 앤디 듀프레인(팀 로빈스)은 살인 누명을 쓰고 두 번의 종신형을 선고받은 뒤 수감된다. 그를 비롯한 신입 재소자들은 쇼생크에 들어서자마자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는다. 그들의 정신부터 무너뜨려야 관리하기 편하다는 게 교도소의 유구한 전통이자 노하우다. 그러나 앤디는 끔찍한 물리적·정신적 폭력에도 악착같이 삶의 원칙을 지키려고 애쓴다.

앤디는 자기연민에 갇히지 않는다. 남의 존엄도 소중히 여긴다. 그가 억울한 죽임을 당한 재소자의 이름을 굳이 알고 싶어하는 것도, 교도관의 세금 문제를 해결해준 대가로 “동료들(coworkers)에게 맥주를 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그래서다. 그에게 다른 이를 생각하는 마음이 없었다면 영화의 감동은 크지 않았을 것이다.

“마음 속의 그 어떤 것은 아무도 뺏지 못하고 손댈 수도 없다.” 앤디는 ‘그 어떤 것’을 “희망”이라고 부르지만 내게는 “자기 존엄”으로 들렸다. 자기 존엄을 저버리지 않았기에 희망도 품을 수 있었으니까. 자기 존엄이 그토록 중요한 건 왜일까. 인간의 존엄함을 모르는 자는 자유를 향한 목마름을 알지 못한다. ‘갇힌 생활’에 쉽게 길들여져 한낱 노예로 전락하는 것이다.

그가 “다른 죄수와 다르게 걷고 다르게 말했던” 이유는 오직 하나다. 스스로 존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신이 무엇에 갇혀 있든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진정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자기 존엄을 늘 가슴에 품고 살아야 한다.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