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임금에 살인적 노동, 이러니 누가 급식 일 하겠나"

이민선 2024. 5. 23. 2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는 경기 학교 급식실 노동자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급식노동자들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경기지부(아래 학비노조)가 22일 기자회견에 이어 23일 오후에는 주최 측 추산 220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집회를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열어 '인력 증원과 처우개선'등을 촉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학교급식실 노동자 2200여 명 교육청 앞에서 "인력 증원, 처우개선" 촉구

[이민선 기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경기지부 학교 급식 노동자들 23일 경기도교육청 앞 집회
ⓒ 학비노조 경기지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경기지부 학교 급식 노동자들 23일 경기도교육청 앞 집회
ⓒ 학비노조 경기지부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는 경기 학교 급식실 노동자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급식노동자들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경기지부(아래 학비노조)가 22일 기자회견에 이어 23일 오후에는 주최 측 추산 220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집회를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열어 '인력 증원과 처우개선'등을 촉구했다.

자신을 10년 차 조리실무사라고 밝힌 한 참가자는 "산재와 폐암으로 죽어가고, 방학 중에는 무임금으로 생계가 막막하며, 일할 사람이 부족해 아침마다 대체 인력 구하느라 정신이 없는 게 학교 급식실 현실"이라고 발언했다.

이어 그는 "이렇듯 일할 사람이 부족해 미친 듯이 뛰어다니다 보니 아프지 않을 수가 없는데, 내가 쉬면 동료들이 병이 날까 봐 맘대로 쉴 수도 없고, 병가 일수가 부족해서 병원도 맘 놓고 갈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렇게 힘들게 일하는데 최저임금도 안되는 저임금에 그나마 방학 중엔 무임금, 이러니까 아무도 학교에서 일하려 하지 않는 게 아니냐"라고 하소연하며 "인력을 충원해 노동강도를 줄이고 방학 중의 유급 일수를 확대하는 등의 처우개선을 하라"고 요구했다.

전국 학교 급식실 결원율 심각, 경기 4.7%..."신규 입사자 줄줄이 퇴사"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경기지부 학교급식 노동자들 23일 경기도교육청 앞 집회
ⓒ 학비노조 경기지부
   
학비노조에 따르면, 현재 전국 학교 급식실은 결원이 많아 심각한 상황이다. 서울은 4.3%, 경기 4.7%, 충북 6.6%, 인천 7%, 제주와 세종은 10.5%나 된다.

학비노조는 "이렇듯 결원이 많은 이유는 "살인적인 학교 급식실의 노동강도와 최저도 안 되는 임금(기본급) 때문"이라 밝혔다.

이어 "학교급식노동자 기본급은 198만 6천 원으로 2024년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206만 740원보다 적은데, 이는 방학 중에 월급이 없어서이고, 과중한 노동 탓에 90%에 육박하는 노동자가 골병(근골격계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러다보니 신규입사한 노동자가 줄줄이 퇴사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전하고 질 좋은 급식을 위해서 인력을 충원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호소해 왔는데, 이를 교육 당국이 수수방관했다"며 "지금이라도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에 나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집회는 노동자들의 현장 발언과 풍물패의 길놀이, 노래패 공연 등으로 이루어졌다. 오후 5시 30분에 시작해 7시께 막을 내렸다.

주요 구호는 "학교급식실에 적정인원을 배치하라", "최저임금 미달, 신규채용도 미달, 학교급식노동자 처우 개선하라", "방중유급일수 확대하고, 학교 급식실 정상화 근본 대책 마련하라" 등이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