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만원대 맞아?"… 기아 EV3, 디자인+新기능 살펴보니

편은지 2024. 5. 23. 1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아 EV3 실차 미리보기
컴팩트 사이즈 대비 커보이는 차체
EV9 빼닮은 후면과 내부 디자인
널찍한 공간, 세련된 인테리어에 OTT 서비스까지
기아 EV3 GT라인 ⓒ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기아의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정체기)을 뚫을 비장의 무기인 소형 전기 SUV 'EV3'. 2021년 환호 속에서 출시됐던 EV6의 판매량이 월 500대로 내려앉은 지금, EV3는 기아의 전기차 판매량을 다시 높여줄 기대주다. 올 7월경 출시될 EV3의 내외부 디자인을 지난 22일 직접 살펴봤다.

이번 기아 EV3는 사실상 '상품성'에 초점이 맞춰진 차다.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주저하는 요인인 '높은 가격'과 '짧은 주행거리' 문제를 해소해 전기차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 역시 EV3의 매력으로 두 가지를 꼽은 바 있다.

하지만 '대중화'를 위해서는 소수의 취향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디자인도 필수인 법이다. 그래서일까, 이날 만난 EV3에서는 대중성을 위한 '모난 데 없는' 디자인이 돋보였다.

EV 시리즈 중 플래그십 모델인 EV9과 유사한 디자인과 기능들도 곳곳에 묻어났는데, 덕분에 고급 모델의 감성을 작은 차체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기아 EV3 ⓒ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외관은 한눈에 봐도 기아의 전기차임을 알 수 있다. 전기차 뿐 아니라 최근 쏘렌토, 카니발 등 내연기관 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ㄱ자 모양의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헤드램프 덕분이다. 기아의 오랜 디자인 전통인 '타이거 페이스'는 전기차인 만큼 더욱 현대적인 느낌을 낸다.

헤드램프는 EV9과 동일하지만, 전면부 형상은 완전히 다르다. EV9은 전면부가 직각으로 툭 떨어지며 박스처럼 각진 느낌을 내지만, EV3는 후드와 범퍼 표면이 볼륨감있게 처리되면서 부드러운 인상을 자아낸다. 통통하게 처리된 덕에 전반적인 실루엣이 작아보이지 않는 효과도 준다.

기본모델과 GT라인과의 디자인 차이도 존재한다. GT라인은 성능은 기본모델과 같지만 스포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기본 모델의 전면부가 전부 한가지 컬러로 도장된 반면, GT라인은 전면 하단에 검정색 컬러가 들어가고, 하단부 범퍼도 날개 형상으로 디자인됐다.

기아 EV3 측면 ⓒ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측면부는 뒤로 갈수록 낮아지는 루프라인이 매력 포인트다. 특히 2열 손잡이를 창문옆으로 배치하면서 창문이 길어보이도록 했는데, 덕분에 전반적인 길이감도 길어보인다. 차체는 작지만, 최대한 커보이도록 디자인 곳곳에 공을 들인 모습이다.

후면부 역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여백을 많이 준 덕에 덩치가 커보이는 효과를 준다.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차체 양 끝에 배치하면서 중앙을 비운 디자인인데, 후면의 경우엔 EV9의 축소판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기아 EV3 후면 ⓒ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EV9 개발 당시 내외부 디자인에 크게 공을 들였던 탓일까. EV3는 내부에서도 가성비로 무장한 EV9의 향기가 짙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그간 호불호가 짙었던 기아 차량의 터치식 공조 컨트롤러가 사라지고 물리버튼으로 바뀌었다는 점과, EV9에 적용됐던 히든타입 터치버튼 디자인이 그대로 적용됐다. 계기판, 공조, 인포테인먼트가 하나로 결합된 널찍한 디스플레이도 매력적이다.

기아 EV3 인테리어ⓒ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전기차를 망설이는 소비자들에게 전기차 구매를 설득해야하는 만큼, EV3에 최초로 적용된 기능과 옵션도 있다. 'AI 비서' 기능과 '슬라이딩 콘솔'이다. 통상 고급 모델에 새로운 기능이나 옵션을 선적용한 후 하급 모델에 적용하던 업계 공식을 과감히 깼다.

AI 비서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비서 서비스로, "헤이 기아, 000으로 가줘" 등의 음성 명령을 내리면 차량이 알아서 기능을 작동시켜주는 서비스다. 커넥티트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해 직접 AI 비서 기능을 사용해보지 못했지만, 그간 고급 수입차 모델들에서나 종종 구경할 수 있었던 기능이 저가형 전기차에 적용됐단 점은 꽤나 흐뭇한 요소다.

EV3 슬라이딩 콘솔ⓒ데일리안 편은지 기자

컴팩트 사이즈에선 기대하기 어려운 1열에 위치한 '슬라이딩 콘솔'도 흥미롭다. 센터콘솔 앞부분을 잡아 당기면 길이가 늘어난다. 자동 버튼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당겨야하지만, 정차 중 업무, 식사 등 활용도가 높겠다.

아울러 도어, 크래시패드, 콘솔 하단에는 엠비언트 라이트도 적용됐다. 차량 속도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웰컴&굿바이, 시동 온/오프, 음성인식, 드라이브 모드 및 제한 속도 알림과 연동할 수도 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