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영상 "AI가 촉발한 사회적 문제, 국제사회가 머리 맞대야"

정길준 2024. 5. 23. 18: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영상 SKT CEO

SK텔레콤은 지난 21~22일 서울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유영상 CEO(최고경영자)가 약 17개국 정부, 재계 인사들 앞에서 AI(인공지능)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 CEO는 이튿날인 장관 세션에서 기업 중 유일하게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주제로 강단에 섰다.

이 자리에서 AI로 창출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 가치와 AI로 촉발되는 사회적 문제가 공존하는 현재 국제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유 CEO는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의 에너지 소비와 접근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을 소개했다.

유 CEO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막대한 전력과 비용이 소요된다"며 "한국의 경우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 전력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AI 칩 개발과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에 힘쓰고 있다"고 했다.

AI가 가져오는 한계성과 페이크 뉴스와 같은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는 제안도 했다.

유 CEO는 최근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를 언급하며 "이 행사는 SK텔레콤, 네이버 등 주요 한국 기업의 AI 모델에서 약점과 위험요소를 찾아내는 행사였는데, AI 지속 가능성과 안전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되돌아봤다.

마지막으로 유 CEO는 "국제사회가 AI의 안전성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AI가 창출할 수 있는 혁신성에 대해서도 균형 있는 고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와 기업들이 협력해 안전을 기반으로 AI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AI 혁신을 이뤄내는 균형 있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