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韓남성 절반이 대졸…30%는 "월 400만원 이상 번다"

하수영 2024. 5. 23. 17: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셔터스톡

중개업체를 통해 국제결혼을 하는 이의 절반 이상이 대졸자이며, 3명 중 1명은 월소득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여성가족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 50.6%로 ‘고등학교 이하’(49.4%)를 근소한 차이로 앞질렀다. 이 조사가 시작되고 처음이다.

지난 2014년까지만 해도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상당수가 ‘고등학교 이하’(70.2%)였다. 외국인 배우자의 학력도 ‘대학교 이상’이 2014년 12%였던 것에서 2023년 26%로 증가했다.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자의 월 평균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 34.8%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300~399만원’(29.1%), ‘200~299만원’(28.9%), ‘199만원 이하’(7.2%)가 이었다.

2014년에는 ‘400만원 이상’(11.3%), ‘300~399만원’(14.9%), ‘200~299만원’(40.6%), ‘199만원 이하’(33.2%) 등 국제결혼 이용자의 소득 수준이 낮은 편이었는데, 9년 사이에 뒤바뀐 것이다.

국제결혼 중개업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연령대는 40대(55.7%)가 가장 많았다. 50세 이상은 30.8%, 39세 이하는 13.5%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 배우자의 나이는 19~24세(37.3%)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25~29세(23.3%), 30~34세(21.8%), 35세 이상(17.6%) 순이었다.

외국인 배우자의 출신 국가는 베트남(80%)이 가장 많았고, 캄보디아(11.9%), 우즈베키스탄(3.1%), 태국(2.9%), 중국(0.6%), 기타(1.4%) 순이었다.

국제결혼 중개업 이용 비용은 중개수수료가 평균 1436만원, 이외 비용(예단비, 현지 혼인신고비 등)이 평균 469만원으로 평균 1905만원이었다. 외국인 배우자가 현지 중개인에게 지불하는 중개수수료 평균은 87만5000원이었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