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도 배당’…‘경북 농업대전환’ 미래 농업 해법 제시

노재현 2024. 5. 23. 15: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최초 주주형 공동영농 모델 도입, 농업소득 3배 실현
경북도가 올해 역대 최대규모의 농업예산을 투입해 농업대전환 시즌2를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농업대전환’의 일환으로 전국 최초 추진한 ‘주주형 공동영농 모델’이 쌀산업 안정화, 곡물자급률 상향, 농가소득증대 등 1석 3조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첨단화를 통한 소득 배가 실현을 위해 2022년 6월 농업대전환 비전을 선포하고, 혁신농업타운 조성, 첨단 스마트농업 확산, 미래형 사과원 조성, 가공산업 대전환 등 농업 전반에서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은 “농민은 땅도 있고 일도 열심히 하는데 왜 도시근로자 보다 못 사는가”에 대한 이철우 지사의 고민에서 출발됐다.

경북 농업대전환 역점시책으로 추진하는 ‘혁신농업타운’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 모델이다.

법인을 중심으로 농가는 주주로 참여하고 경영은 법인에서 일임하며, 이모작 소득작목 재배로 발생한 수익을 배당형태로 지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영농 모델인 셈이다.

경북도 김대식 농업정책과장은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 모델은 벼 대신 콩, 양파, 감자 등 고소득 작목으로 전환함으로써 쌀 생산은 줄이고, 곡물 자급률과 농가 소득은 높이는 1석 3조의 효과가 있다”면서 “1인당 쌀소비량 감소에 따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규모화·기계화가 가능해 고령화, 일손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문제를 해결 할 방법이 될 수 있는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지난해 문경시 영순지구는 들녘마을을 ‘혁신농업타운’ 시범사업으로 추진했다.

문경시 영순지구는 60세 이상 고령 농이 대부분으로 활기를 찾기 힘든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하지만 법인 대표를 비롯한 젊은 청년들이 주축이 돼 80농가가 의기투합해 공동영농을 위한 법인을 만들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법인은 그동안 벼농사만 짓던 110ha의 농지를 규모화해 여름철에는 콩을 겨울철에는 양파와 감자를 심는 이모작 영농을 시도했다. 

특히 노동집약적 개별 영농에서 벗어나 기계화가 가능한 첨단농업으로 탈바꿈시켰다.

그 결과 벼 단작 시 7억 7900만원 이었던 단지 내 농업생산액(경영비 제외)이 이모작 전환 후 24억 7900만원으로 3배 이상 증대 효과를 냈다. 

참여농가도 면적에 따라 3.3㎡(평)당 기본 배당소득 3000원씩 총 9억 9800만원을 지급해 벼농사 때보다 많은 소득이 돌아갔다. 

여기에 더해  농가가 직접 영농 활동에 참여한 경우 일반 농작업은 9만원, 농기계 작업은 30만원의 영농인건비가 지급돼 소득은 더욱 늘어난다.  

올해는 작황이 좋아 전국 평균보다 15~20% 많은 양파 5000톤, 감자 900톤의 수확이 예상됨에 따라 추가 배당도 가능해 농가소득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순지구 늘봄영농조합법인 홍의식 대표는 “사업추진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법인을 믿어 준 농가에 소득으로 보답할 수 있어 기쁘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경북도는 지난해 문경, 구미, 예천에서 혁신농업타운을 조성한데 이어 올해도 사각지대 없는 농업대전환과 조속한 확산을 위해 공동영농형 외 특화품목형을 추가해 7개소를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경주시, 상주시, 청도군은 공동영농형으로 벼 단작에서 콩·양파·마늘·감자 등 이모작으로 전환한다. 

또 특화품목형의 경우 영덕은 가을배추·감자·양배추·양파, 봉화는 수박·토마토를 이모작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청송은 다축형 사과원으로 재배 방식을 전환하는 등 생산중심에서 농식품 가공으로 영역을 확대해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방침이다.

이철우 지사는 “경북이 전국 최초로 시도한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 모델이 농업·농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번 혁신사례를 도내는 물론 전국으로 확산시켜 대한민국이 농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이날 오후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이철우 지사,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시장·군수, 관계 기관·단체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를 가진다.
2023년도 기본배당액 도표.
농업생산액(조수익-경영비) 증대 그래프.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