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AI 반도체 장려"…28개국 참여 '서울 장관 성명' 채택

김보경 2024. 5. 23.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의 안전·혁신·포용성을 확립하기 위해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28개국의 참여로 '서울 장관 성명'이 22일 채택됐다.

이를 토대로 AI 안전·혁신·포용 증진을 위한 '서울 장관 성명'을 채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의 안전·혁신·포용성을 확립하기 위해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28개국의 참여로 ‘서울 장관 성명’이 22일 채택됐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과 미셀 더넬런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서울 장관 성명 발표 등 ‘AI 서울 정상회의’를 마무리하는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과기정통부]

이날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장관 세션에는 공동개최국인 한국의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영국 과학기술혁신부 미셸 도넬란 장관의 주재로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유럽연합, 유엔 등 21명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삼성전자, SK텔레콤, LG AI 연구원 및 구글 딥마인드, 앤트로픽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과 학계·시민사회까지 총 22명의 주요 인사가 참여했다.

장관 세션에서는 전날 정상 세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AI 안전 연구소의 네트워킹 등 글로벌 협력 방안과, 에너지·환경·일자리 등 AI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해 회복 탄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 이를 토대로 AI 안전·혁신·포용 증진을 위한 ‘서울 장관 성명’을 채택했다.

신뢰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AI 개발을 위한 이번 성명에는 ▲모든 범위에 AI 위험에 대비하는 것은 필수적 ▲AI 관련 자원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지적재산권을 존중하고 보호할 것 ▲저전력 AI 반도체 적용,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을 장려함 ▲AI의 혜택을 공평하게 공유할 것 등이 담겨있다.

이 장관은 전날부터 이어진 AI 서울 정상회의와 이날 AI 글로벌 포럼을 마친 후 "작년 블레츨리와 이번 서울에서의 성과를 내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AI 행동 정상회의로 이어 나가 국제사회의 역량을 결집하여 AI의 안전·혁신·포용을 달성하는 ‘서울 효과’를 일으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행사 개최를 바탕으로 확보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글로벌 AI 거버넌스와 규범 정립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연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AI에 관한 다양한 국제 이니셔티브들이 조화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AI의 안전·혁신·포용이라는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명시한 ‘서울 선언’과 안전성에 관한 구체적 실천 계획을 담은 ‘서울 의향서’ 채택이 국제사회의 AI 거버넌스 논의의 새로운 기준을 제공하게 된 점이 의미 깊다"고 말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