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아일랜드·스페인 "팔레스타인 국가로 인정"

윤현 2024. 5. 23. 09: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럽 3국 정상 동시 발표... 이스라엘 강력 반발

[윤현 기자]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가 22일(현지시간) 오슬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노르웨이뿐 아니라 아일랜드와 스페인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2024.05.22
ⓒ 로이터=연합뉴스
 
유럽의 노르웨이, 아일랜드,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다.

이들 유럽 3개국 총리는 22일(현지 시각) 각자 연설을 통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전 경계를 기준으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한다고 선언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오는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은 독립 국가로서의 근본적인 권리를 갖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결정은 누구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수만 명이 죽거나 다친 전쟁 가운데 '두 국가 해법'은 중동에 지속적인 평화를 가져올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도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했다"라며 "이는 평화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한 것이고 앞으로 더 많은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에 대해서는 "그들은 팔레스타인 국민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 "이스라엘 인질을 하루빨리 돌려보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해리스 총리는 "가장 암울한 시기를 겪고 있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희망과 격려를 주기 위해 이 결정을 내렸다"라고 덧붙였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의회 연설에서 "스페인 내각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승인할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팔레스타인인들과 함께한다는 것을 알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사회 인내심 바닥나"

국제사회에서는 이미 상당수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한다. 

유엔 총회도 지난 10일 유엔 헌장에 따라 팔레스타인이 정회원국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을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한 바 있다. 

팔레스타인은 2012년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단체(entity)에서 옵서버 국가(state)로 승격해 현재까지 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노르웨이, 아일랜드,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다고 보도하는 미국 <뉴욕타임스>
ⓒ 뉴욕타임스
 
미국 <뉴욕타임스>는 "이들 3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비록 상징적이지만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 공격과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내심이 바닥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3국이 함께 발표한 것은 더욱 의미가 있다"라며 "독일이나 프랑스처럼 강대국들이 압박을 느낀다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엔 정회원국이 되려면 안보리와 총회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먼저 안보리 15개 이사국 중 최소 9개 이사국이 찬성해야 하고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등 5개 상임이사국 어느 한 곳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말아야 한다. 이후 총회에서 전체 회원국 가운데 3분의 2 이상 찬성해야 한다.

이스라엘 "그냥 넘기지 않아"... 자국 대사 소환 명령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했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성명을 내고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역내 테러와 불안 확산으로 이어져 평화에 대한 전망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홀로코스트 이후 최대 규모의 유대인 학살을 저지른 테러조직 하마스에 상을 주는 것"이라며 "이스라엘은 이를 그냥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3국에 주재하고 있는 자국 대사에게 곧바로 귀국할 것을 명령했다면서 "이번 결정은 이스라엘의 주권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의 '맹방'인 미국도 거들었다.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은 임기 내내 두 국가 해법을 강력히 지지해왔다"라면서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일방적인 승인이 아니라 이스라엘과의 당사국 간 직접적인 협상을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고 믿는다"라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4월 안보리에서 팔레스타인의 유엔 정회원국 가입 표결에서도 상임이사국 중 유일하게 거부권을 행사하며 무산시킨 바 있다. 

영국 <가디언>은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지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은 미국이 정직한 중재자가 아니라고 느낀다"라며 "이번 결정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의 '지분'을 깎아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요르단강 서안을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와 하마스는 이번 결정을 크게 환영하고 나섰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노르웨이, 아일랜드, 스페인은 오랫동안 지연된 정의를 실현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줬다"라고 밝혔다. 하마스도 "이들 3국의 결정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 입장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