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진 회장 “美 대선 앞두고 韓 경제계-美 오피니언 리더 간 핫라인 절실”

조인영 2024. 5. 23.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한 중인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Kevin McCarthy) 전 미국 하원의장이 류진 한경협 회장을 비롯한 한국 주요 기업인들과 조찬 회동을 가졌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23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케빈 매카시 전 미국 하원의장과 한국 주요 기업을 초청해 조찬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케빈 매카시 전 의장과 국내 10대 기업 사장단을 주축으로 한 고위 기업인 20여 명이 모여 한국과 미국의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화당 매카시 전 미 하원의장, 韓 기업과 회동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앞줄 왼쪽 여섯번째)과 케빈 매카시 前 美하원의장(다섯번째)을 비롯한 기업인들이 23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케빈 매카시 前 美하원의장 초청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국경제인협회

방한 중인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Kevin McCarthy) 전 미국 하원의장이 류진 한경협 회장을 비롯한 한국 주요 기업인들과 조찬 회동을 가졌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23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케빈 매카시 전 미국 하원의장과 한국 주요 기업을 초청해 조찬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케빈 매카시 전 의장과 국내 10대 기업 사장단을 주축으로 한 고위 기업인 20여 명이 모여 한국과 미국의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류진 회장 “美 대선 앞두고 韓 경제계-美 오피니언 리더 간 핫라인 절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가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미 대선을 앞두고 한국 경제계와 미국 오피니언 리더들 간 깊은 대화가 절실하다”며 간담회의 취지를 밝혔다.

이어서 그는 “미국은 한국에게 최대 투자국이자 최대 수출 대상국”이라며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했다”며 한미 양국의 경제적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투자는 약 277억 달러로, 작년 한 해 미국이 유치한 해외직접투자 총액인 633억8000만 달러의 43.7%에 달해 단일국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높은 일자리 창출 효과를 함께 언급한 것은,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가 양과 질 두 가지 측면에서 미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케빈매카시 전 하원의장, 한국전 참전용사 행사개최한 대표 친한파

이날 조찬에 초청된 케빈 매카시 의원은 대표적 친한파 의원으로, 과거 한미FTA 타결 시 막후에서 공화당의 찬성 의견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E-4 전문직 비자의 한국인 쿼터 확대 법안 공동 발의(2014년),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한국전 참전용사 치하 행사 개최(2013년) 등 경제와 안보를 아울러 한미 양국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힘써왔다.

작년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하원의장으로서 윤석열 대통령의 의회 연설을 초청하기도 했다.

케빈 매카시 전 의장은 미국 공화당 소속으로, 2006년 미 하원의원이 된 후 2년 만인 2008년부터 원내대표를 맡아 미국 공화당의 주축으로 활동했다.

특히 2016년, 트럼프 전 대통령을 후보 시절부터 지지해 당선을 도왔고, 2023년 하원의장으로 선출돼 활동하며 미 의회의 정치 9단으로 불린다.

최근에는 차기 대선에서 다시 한번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SK, 현대차, LG, 한화, LS 등 주요 기업의 고위인사가 직접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특히 미래에셋, CJ, SPC, 신세계푸드 등 다양한 산업계에서도 참석, 향후 한미 경제교류의 새로운 지평을 기대하게 했다.

김봉만 국제본부장은 “미 대선을 6개월 앞둔 현시점, 향후 미국의 정책 결정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오피니언 리더에게 직접 한국 재계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소중하다”며 “IRA, E4비자 쿼터 확대 등 미 의회에서 결정되는 사항들이 한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러한 의견 공유의 기회를 더욱 많이 만들고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