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진 영화만사] 혼란한 극장가 구세주는 결국 관객

전형화 2024. 5. 23.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죽었다' 스틸

스크린 독과점 얘기가 다시 고개를 쳐들고 있고 넷플릭스 무한독주 시대란 말이 거의 정설로 굳혀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법과 제도, 시스템을 정비해야 하겠지만 결국 그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는 길은 관객과 수용자에게서 나온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일단 소비자들이 영화에 대한 감별 능력을 높이면 특정 사업자가 아무리 배급과 유통을 밀어 붙인들 그것 만이 능사가 되는 일은 생기지 않기도 하는 법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좋은 영화들, 의미 있는 영화들이 진열대 위에서 반짝반짝, 도드라지게 만들어야 한다. 영화에 대한 글쓰기, 리뷰, 비평 등 영화 언론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이유다. 다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그런 상황에서 극장가에 이변이 속출하고 있는 것은 그다지 좋은 신호는 아니다. 5월의 텐트 폴 영화는 ‘스턴트맨’ ‘혹성탈출 : 새로운 시대’ ‘쿵푸팬더4’였다. 유니버설, 월트디즈니, 드림웍스 등 모두 할리우드 메이저들이다. 메이저 영화라고 다 잘되는 건 아니지만 아무리 그래도 성적들이 기대에 너무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체로 홍보마케팅에만 35억원을 쓴 것으로 알려진 작품들이다. 

이중에서 ‘스턴트맨’은 아주 된서리를 맞은 케이스인데, 현재 21만을 갓 넘긴 정도다. 이건 거의 재앙 급 수준이다.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무엇보다 원작을 재창조해 내는 신선도가 약한 영화인 건 분명하지만 ‘스턴트맨’의 흥행 나락은 할리우드 영화들에게도 적신호가 켜졌음을 시사한다. 국내 시장이 이상하게 왜곡되고 있다는 진단들이 속출하고 있다. ‘혹성탈출’ 시리즈가 아무리 한국에서는 안 먹히는 작품이고, 그래서 디즈니가 애를 쓰고 있긴 하지만 현재로서는 100만을 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악마와의 토크 쇼’같은 작은 영화가  7만 8000여명의 관객을 모은 것은 놀라운 일이다. 작은 영화가 입소문을 탄 전형적인 사례인데 사람들이 시리즈물에 지쳐 있고 좀 더 새로운 얘기들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워너브라더스가 배급한 ‘정말 괜찮은’ 영화 ‘챌린저스’가 여기에 비해 7만 5000여명을 모으는 데 그친 것은 약간 자존심이 상하는 일일 수 있다. 

이건 도무지 관객들의 속마음을 짐작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목이기도 하다. 지금 관객들은 도대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배급전문가들, 홍보마케팅 전문가들은 지난 시절의 매뉴얼이 전혀, 단 1도 안 먹히는 것이 요즘이라고들 입을 모은다. 어떤 마니아 급 영화 애호가가 ‘챌린저스’는 젠데이아 콜맨보다 조쉬 오코너를 더 전면에 내세운 마케팅을 했어야 했다고 말했을 때 다들 실소했지만 어쩌면 그게 맞는지도 몰랐을 얘기이다. 관객들의 생각과 영화를 하는 사람들의 생각에 큰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어쩌면 가장 무서운 것은 바로 그 부분이다.

한국영화 ‘그녀가 죽었다’가 45만명을 넘기며 선전하고 있다지만 이건 그냥 기분만 좋은 수준이다. 이 영화가 손익분기점을 넘기려면 150만의 관객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극장 매출이 150억원이 나오고(티켓 1만 5000원 기준) 이걸 극장과 투자배급사가 5:5로 나눈다는 원칙을 잘 지킬 때 75억원이 들어 올 수 있으며 그 때에야 비로소 총 제작비 70억원을 상회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주연배우와 감독이 환하게 웃으며 무대 인사를 다니고 관객들의 열화와 같은 박수를 받고 있을 때 무대 뒤 기획자와 제작자는 가슴이 타 들어 갈 것이다. 이들의 관심은 이제 얼마나 손실분을 줄일 수 있을까에 모아질 것이다. 이렇게 되면 영화계는 더욱 숨통을 조이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영화계는 점점 더 영화를 만들지 않겠다는 수준을 넘어 아무도 영화를 만들지 않는 지경까지 이를 것이다. 지구가 망하기 전에 한국영화계가 먼저 망할 수 있다는 얘기는 더 이상 농담이 아니다.

‘그녀가 죽었다’가 어느 정도 버텨야 7월의 ‘탈출 : 프로젝트 사일러스’, 8월의 ‘행복의 나라’에도 그나마 기대를 모아 갈 수 있을 것이다. 두 작품 모두 이선균의 유작이다. 이미 완성됐던 작품들이고 자칫 극장 개봉이 어려울 뻔 했던 영화들이다. 이선균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도 크지만 영화 흥행은 기본적으로 완성도와 재미가 결정할 것이다. 5월말 개봉하는 강동원 주연의 ‘설계자’, 6월 개봉하는 이성민 주연 ‘핸섬가이즈’도 마찬가지다. 

현재 영화계는 극장가의 이상한 판을 누군가 뒤집어 주길 원하는 분위기다. 결국 관객 밖에 없다. 극장의 미래는 관객에게 있다. 관객의 눈이 더 밝아지도록, 더 좋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야 한다.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진열대에 더 좋은 영화들이 보이도록 놓아야 한다. 속담과 구전에는 참고할 말이 많다. 늘 그런 법이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오동진 영화평론가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