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 목이 메어 애달프게 부르는 마지막 한 마디

이숙자 2024. 5. 22. 22: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 육친 같은 큰집 형님이 세상과 이별을 하셨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숙자 기자]

찔레꽃이 곱게 피어 나는 5월, 찔레꽃은 내겐 추억이다. 찔레 향기를 벗하며 오늘 사랑하는 큰댁 형님이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결혼해서 반세기라는 세월, 삶을 공유해 온 형님도 내게는 추억이며 내 삶의 일부였다. 여든다섯 해를 세상에서 살다가 이제는 만날 수도 없는 먼 곳으로 가시고 말았다.

생은 영원한 건 없다지만,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은 언제나 아프고 슬프다. 내 삶의 한 조각이 소멸되는 느낌이다. 언제나 속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희로애락을 같이 했던 날들이기에 더욱 그렇다.

형님은 이십 대에 결혼하여 종갓집 맏며느리로 자식 다섯 낳아 기르시고 층층시하 어른들 까지 모시며 일 속에 묻혀 살았다. 어른들 살아 계실 때는 찾아오는 손님들 때문에 밥상 차리는 일이 숫하게 많았고 한분 한분 돌아가시고 나서 일 년에 제사는 일곱 반상이나 지내야 했다. 나 역시 둘째 며느리지만 결혼 55년 제사를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제사 음식을 같이 해 왔다. 하여간 시댁은 제사가 진심인 집안이었다.

옛날 세상, 며느리의 숙명처럼 여기고 나와 형님은 동지로 서로 위로하며 반세기를 같이 살아왔다. 내 육친 같은 형님. 조상 모시는 것이 그렇게 중요했던가, 사람이 몸으로 할 수 있는 일이 한계치가 있다. 너무 힘들면 몸이 신호를 보낸다. 옛 말에 골병든다는 말이 있다. 예전 며느리들은 골병이 들 정도로 일 속에 살아왔다.

나이 들어가면서 아프기 시작한 형님은 허리가 아파 수술을 했고 수술 후유증으로 아파서 전국 유명한 병원은 모두 찾아다니실 정도였다. 하지만 연세 들고 더는 손을 쓸 수 없어 집에만 머물다 요양병원에 들어가신 지 2년이 된 후 홀연히 세상을 떠나셨다. 마지막엔 먹는 걸 거부하셨는데, 아마도 당신이 예견이라도 하신 듯 생을 마감한 게 아닌가 싶다.

사람은 살아야 할 명분이 없으면 삶의 의욕을 잃는다. 모두는 때가 되면 누구나 가야 하는 저승길이지만 어떻게 생과 사를 마무리를 해야 할지, 나이 들면 그 일이 숙제처럼 가슴에 않고 살고 있다. 가까운 가족과의 이별은 가슴이 미어지는 일이다.

형님은 많은 사람들에게 정을 베풀었다. 사람이 잘 살고 못 살고는 그 사람이 세상을 떠날 때 알게 된다. 종갓집 며느리로 힘들었지만 주변에서 존경도 많이 받았다. 장례식장에는 형님 가시고 잊고 살던 친척들이 찾아와 추억을 뒤돌아보는 시간들이었다. 
                 
▲ 하얀 작약꽃 집 앞마당에 피어 있는 주인 잃은 하얀 작약꽃이 서럽다
ⓒ 이숙자
                                                             
한 줌의 재가 되어 땅속으로 들어가 이별을 하는 순간, 목이 메어 '형님' 한번 부르고 형님을 보낸다. 부디 저 세상에 가시어 아프지 말고 행복하셨으면 하는 소망으로 두 손을 함께 모은다. 

형님은 땅에 묻히고 산자들은 덥다고 나무 그늘에 서 있으려니, 바람은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르는 채로 살랑살랑 불어 볼을 스친다.

나는 그 바람의 느낌마저 슬픔으로 밀려온다. 이승과 저승의 사이 간격은 어느 만큼 일까? 도무지 알 수 없는 생과의 이별. 나는 땅속으로 들어가는 유골함을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이 흐른다. 형수를 보내는 남편의 말 또한 아프다. "형수님 먼저 가 계셔요, 나도 곧 따라갈게요"라니.

한 많고 구비구비 살아온 사연 많은 한 사람의 생이 이렇게 끝났다. 땅에 묻히는 엄마의 유골함을 보며 딸들이 부르는 "엄마" 소리가 더 애달프고 숙연해 온다. 이 땅 며느리들의 굴레는 우리 세대에서 끝나기를 소망한다. 시댁 제사와 일 속에 묻혀 살았던 날들. 형님이 이제는 모든 걸 내려놓고 아프지 말고 편히 쉬시길 빌어본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기자의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