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노르웨이 "팔레스타인 국가로 인정"…이스라엘 반발

박형수 2024. 5. 22. 19: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 3국이 22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지난해 10월 시작된 가자지구 전쟁의 장기화로 이 지역의 인도적 재앙이 최악으로 치닫자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두 국가 해법’을 실행하자는 움직임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또 국제사회의 만류에도 군사 작전을 강행하는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의 메시지도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로이터통신과 가디언 등에 따르면,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이날 하원 연설을 통해 “오는 28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체스 총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여전히 (가자지구의) 병원, 학교, 주택을 폭격하고 있고, 팔레스타인 평화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며 “종전을 위해 구체적 행동을 취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AFP=연합뉴스


이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서로 독립 국가임을 인정하는 ‘두 국가 해법’ 외에 대안이 없다고 강조했다. 산체스 총리는 “두 국가 해법만이 유일하고 정의로우며 지속 가능한 해결책”이라며 “진보적인 연립정부를 구성하는 두 정당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결정을 논의했고, 스페인 국민 대다수의 감정에 따라 내각도 이를 승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체스 총리의 연설에 의원들은 기립 박수를 냈다.

앞서 노르웨이·아일랜드 정부도 각각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로이터통신에 “팔레스타인에 대한 국가 인정이 없다면 중동에 평화는 있을 수 없다”며 28일부터 이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자국 역사를 예로 들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아일랜드가 국가로 인정받음으로써 결국 평화로운 공화국이 탄생한 것처럼, 우리는 국가로 인정받은 팔레스타인이 중동의 평화와 화해에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고 전했다. 미셸 마틴 아일랜드 외무장관은 이를 28일 시행한다고 밝혔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22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임을 발표하는 연설을 마치자 의원들이 기립박수를 보내고 있다. AFP=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촉진〉

이스라엘, 대사 소환 등 강한 반발


이에 대해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주재 이스라엘 대사에게 즉각 소환 지시를 내렸다”며 “이스라엘의 주권을 훼손하고 안보를 위협하는 이들 앞에서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스페인에도 비슷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스라엘은 시민의 안전을 회복하고 하마스를 제거하고 인질을 되찾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면서 “이보다 더 의로운 목표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일랜드·스페인·노르웨이 3국의 움직임이 이러한 이스라엘의 노력을 훼손했다고도 비판했다.

이스라엘의 극우성향 정치인들은 동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는 등 맞불을 놨다. 우파 연정 내 대표적인 극우성향 정치인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은 이날 이슬람 3대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 경내를 방문했다. 그는 유럽 3국의 조치에 대해 "누크바(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 공격을 주도한 하마스의 해군 특수부대)와 살인자, 학대자에게 상을 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다른 극우 정치인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은 3국에 대한 '징벌적 대응'과 PA에 대한 세금 수입 송금 중단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에게 제안했다. 이스라엘은 자국을 경유하는 팔레스타인 수출입품에 대해 관세를 대신 징수한 뒤 이를 PA에 일괄 송금하는데 팔레스타인과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송금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PA를 압박해왔다.

반면 팔레스타인 자치부(PA)와 하마스는 3국의 결정을 환영했다. PA는 “이번 중요한 조치를 통해 3국은 ‘두 국가 해법’에 대한 확고한 의지, 오랫동안 지연돼온 정의를 팔레스타인 국민에게 전달하려는 진심을 재차 보여줬다”면서 “이번 조치는 국제법과 모든 유엔 관련 결의안과 일치하며, 이 지역의 평화·안정을 달성하려는 모든 국제적 노력에 기여할 것”이라며 반겼다. 하마스는 “팔레스타인인들의 ‘용감한 저항’이 이번 조치의 진짜 배경”이라며 “오늘의 조치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국제적 입장이 바뀌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22일 가자 지구 남부 라파에서 이스라엘 공습에 의해 피격된 불탄 어선 주위에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서 있다. AFP=연합뉴스

'두국가 해법' 지지 움직임 확산


한편 유럽 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움직임은 더 확산될 전망이다. 현재 EU 내에서는 불가리아·체코·헝가리·폴란드·스웨덴 등 동부·북부 유럽 9개 회원국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 슬로베니아와 몰타도 두 국가 해법이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필수라면서 팔레스타인을 국가 인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한다. 유엔총회도 지난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팔레스타인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재고를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한 바 있다. 팔레스타인은 2011년 독립국 지위를 얻기 위해 유엔 가입을 신청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고 이듬해부터 ‘유엔총회 옵서버 국가’ 지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