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50% 싸게 팔아요"…26억 꿀꺽한 '렌탈깡' 수법

정세희 2024. 5. 21. 1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렌탈깡 일당이 국내 유명 렌탈업체로부터 임대 받은 고가의 가전제품. 사진 서울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고가 가전제품을 법인 명의로 렌탈한 뒤 싼 값에 되팔아 수십억을 편취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사기 등 혐의로 A씨를 구속하는 등 총 44명을 검거했다고 21일 밝혔다.

A씨 등은 지난 2017년 10월 ~ 2022년 9월 냉장고·공기청정기·안마의자 등 가전제품을 임대받은 뒤 시세보다 30~50%까지 저렴하게 되파는 속칭 ‘렌탈깡’ 수법으로 총 920회 걸쳐 26억원 상당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전국에 100여개의 유령법인을 만들어 추적을 피했다. 법인을 설립하기 위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에서 미끼광고를 통해 급전이 필요한 대출 희망자를 모집했다.

유령 법인 명의대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만든 미끼광고물. 사진 서울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A씨 등은 이들의 명의를 이용해 법인을 설립하고 대량으로 고가의 렌탈 제품을 허위 주문했다. 제품이 설치되면 다시 재포장해 미리 임대한 창고로 옮겼다. 이후 중고 물품을 거래할 수 있는 사이트(중고 앱)에서 정상가의 50%를 받고 되팔아 현금을 챙겼다. 수익을 올리면 범행에 이용한 법인은 해산시켰다.

법인 설립을 위해 명의를 빌려준 이들은 건당 30~50만원씩 수수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법인 설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법인 명의대여자 23명에 대해서도 추가 입건해 조사중이다.

빌린 가전 제품을 되팔 때는 구매자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설치 기사 유니폼을 입고 제품을 직접 배달하기도 했다. 제품에 부착된 일련번호 바코드 스티커도 미리 제거했다.

총책 A씨 등은 과거 유명 렌탈 업체에서 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근무 당시 법인은 대량 렌탈이 가능하고, 채권 추심이 어렵다는 것을 파악해 범행에 악용한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A씨는 범행을 위해 위탁판매인이나 설치 기사로 취업해 2∼3개월 동안 일하며 렌탈 설치 과정 등도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관계자는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신제품을 시세보다 30% 이상 저렴하게 파는 제품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며 “ 최근 이러한 제품을 구매해 계약 잔금 떠안기·제품 강제 반납 등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