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신상품 개발‧소개 절차 6단계로 한층 강화

최승근 2024. 5. 20. 11: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전 데이터, 트렌드 분석 통해 신상품 제안
직급 상관없이 주임부터 사장까지 개선안 논의
매주 진행되는 홈플러스 상품 품평회에 임직원들이 참석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있는 모습.ⓒ홈플러스

“신선함을 전달해준다고 했는데, 상품의 디자인에서는 그런 느낌을 전혀 받지 못하겠네요”, “이 상품은 곧 시작되는 캠핑 시즌에 맞추면 좋을 것 같은데, 좀 더 일찍 출시하는 방법은 없나요?”

탁자 위에 준비된 상품을 바라보는 직원들의 시선에 호기심과 함께 날카로움이 묻어난다. 이것 저것 물어보기도 하고, 맛을 보거나 착용하기도 하며, 두서 명씩 의견을 교환하기도 한다.

홈플러스 본사의 경영회의실에는 1주일에 한 번, 좌판이 펼쳐진다.

출시를 한 달 가량 앞둔 상품부터, 이제 막 개발에 들어가 이름도 정해지지 않은 상품까지 마치 마트의 진열대를 축소해 옮겨 놓은 것 같은 모습이다.

참석자들은 사장과 임원진은 물론, 해당 상품의 팀장과 임원 그리고 직접 개발에 참여한 주임, 사원까지 다양하다.

상품을 소개하는 20대 MZ세대 주임은 사장과 임원의 날카로운 질문에도 당황하지 않고, 소신 있게 상품 개발의 배경과 긍정적 전망을 당차게 설명한다.

자유롭게 의견 개진을 하는 개방된 분위기이지만, 품평회를 준비하는 개발자와 바이어들은 철저한 분석과 객관적 자료를 준비해 품평회에 임한다.

고객의 입장에서 과연 구매할 욕구와 필요가 있는지, 재구매가 이뤄질 수 있는지 등도 과학적으로 준비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거친다.

상품품평회의 진행을 담당하는 조수현 그로서리&GM RD팀장은 “상품 품평회는 시장의 평가를 미리 받아 보는 예비 성적표이자 예방 주사”라며 “개발자나 바이어가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 상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놓으면서 이를 통해 고객에게 딱 맞는 상품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매주 진행되는 품평회에는 새로이 출시되는 모든 상품들이 대상이다.

최근에는 품평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내부 인원들도 증가해, 상품 품평회장이 열리는 공간은 회의실이 아니라 시장을 방불케 한다.

상품 품평회는 PB(자체 브랜드), NPB(공동기획상품), NB(제조사 브랜드) 등 마트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들이 거치는 필수 코스인 셈이다.

품평회에서는 고객의 니즈와 트렌드에 적합한지, 어떤 내용을 강조해 스토리텔링을 전개할지, 영업할 때에는 어떤 진열과 동선이 효과적일지 상품 판매를 위한 전방적인 내용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상품 바이어뿐만 아니라, 마케팅, 영업, 온라인, SCM 등 다양한 부서원이 참여하며,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진 온라인에서의 판매 전략이나 발주, 물량 등의 이슈 점검에 이르기 까지 상품에 대한 입체적인 평가가 이뤄진다.

최근에는 신상품 개발과 출시까지의 절차를 6단계로 확대했다.

기존에는 상품 바이어들이 내부 검토를 마치고 마지막에 유관 부서들을 불러 문제나 이슈가 없는지 확인하는 정도였지만, 최근에는 도입 초기 단계부터 유관 부서들이 모두 참석해 함께 점검하고 논의하는 자리로 변경했다.

이를 통해 단계는 많아졌지만, 오히려 제품 런칭에 소요되는 기간은 줄일 수 있었다. 유관 부서가 개발 단계부터 유관 부서의 의견이나 참석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오히려 승인과 결재에 소요되는 시간은 더 짧아졌기 때문이다.

실제 상품이 출시되기까지 발생 가능한 여러 개선점이 한 자리에서 논의되기에 빠른 절차는 물론, 편의와 효율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이러한 상품 품평회는 홈플러스의 우수한 품질과 경쟁력 있는 상품을 선보이게 하는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장의 숨은 공로자로 평가 받는다.

레서피 개발부터, 포장 디자인, 제품의 명칭까지 검증을 거치며, 제품 자체의 경쟁력은 높아지고 고객의 만족으로 이어지며, 자연스럽게 매출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고객의 입장에서 상품을 개발하는 여러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실수와 리스크는 최소화하며, 고객 만족을 위해 적합한 상품으로 출시되어 히트 상품으로 발굴될 가능성이 커진다.

홈플러스의 PB상품으로 유명한 이춘삼 라면, 부대찌개와 밀푀유나베 밀키트 등 먹거리는 물론, 후라이팬, 청소포와 물티슈 등은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이 먹거리만 싸고 좋은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내세우며, 결국 좋은 제품들은 고객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홈플러스 시그니처 청소포 4종(정전기/물걸레)의 경우, 품평회를 통해 가격 조정 의견이 반영돼 EDLP(Every Day Low Price, 마트의 초저가 상품)상품으로 전환하였고 기존 2790원의 가격을 1990원으로 내린 이후 판매가 무려 559% 증가했다.

이날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캠핑용 PB 상품을 선보인 하동석 레저상품팀장은 “함께 품평회를 준비하는 개발자와 바이어가 고객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전달해 주는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상품 품평회를 준비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품평회를 마치고 나면 더욱 좋아진 상품을 선보일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긴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