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 오로라1, 脫현대차‧기아 선봉 될까

박영국 2024. 5. 20.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형 하이브리드 SUV 오로라1, 싼타페‧쏘렌토와 경쟁
디자인‧브랜드마케팅‧체급‧연비‧가격 등 전략 잘 짜야
르노코리아 홍보영상에 등장한 오로라1 실루엣. 르노코리아 홍보 영상 캡처.

하반기는 소형 SUV 외 차급에서도 현대자동차와 기아를 긴장케 할 경쟁력 있는 모델이 등장할 것인가. 탈(脫) 현대차‧기아를 염원하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신차 ‘오로라1(프로제트명)’을 준비 중인 르노코리아가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코리아는 오는 6월 28일부터 열흘간 열리는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오로라1을 처음 선보인 뒤 하반기 중 출시할 예정이다.

중형 하이브리드 SUV로 포지셔닝되는 오로라1은 르노코리아의 내수 및 수출 물량을 보장할 기대주임과 동시에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큰 기대를 받는 모델이다. 현대차‧기아 일색인 완성차(국산차) 시장에서 조금이나마 다양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할 만한 볼륨 차종이기 때문이다.

국내 소비자들에게 현대차‧기아는 ‘애증’의 기업이다. 세계 3위 자동차 기업이 국내에서 수입차 대비 가성비 높은 차종들을 공급해주는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어차피 선택은 현대차‧기아’로 내몰리는 상황은 영 마뜩찮다. 차를 몰고 나가면 도로에서 내 차와 똑같은 차를 수백 대씩 마주쳐야 하는 일도 지긋지긋하다.

수입차를 택하자니 가격도 부담이지만 무엇보다 AS 문제로 맘고생을 할 게 두렵다. 현대차‧기아 못지않은 상품성과 가격경쟁력, 편리한 AS망을 갖춘 완성차 업체들은 조금씩 존재감을 잃어간다. 세단 시장은 현대차와 기아가 완전히 장악했고, RV 시장에서도 한국GM 트랙스 크로스오버, 트레일블레이저,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등 소형 SUV 정도나 눈에 띌 뿐이다. 중형 SUV 시장에서 선전하던 KG 모빌리티 토레스도 시들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해 줄 기대주가 오로라1이다. 차급도 수요가 많은 중형 SUV고, 파워트레인으로는 최근 상한가를 치고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얹는다. 싼타페‧쏘렌토 하이브리드 중에서 고민하거나, 출고까지 반년 이상씩 기다리느라 짜증이 극에 달했던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가 생기는 것이다.

물론 한국 시장에서 현대차‧기아와 맞서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이들이 까다로운 국내 소비자들과 티격태격하며 만들어 낸 ‘시장의 룰’ 내에서 경쟁해야 하는 것도 고역이다.

오로라1과 직접적으로 경쟁할 싼타페 하이브리드, 쏘렌토 하이브리드도 막강한 상대다. 온라인상에서는 이들의 단점을 물고 늘어지는 소비자도 많지만 매달 각각 5000~6000대씩 찍어내는데도 6~7개월씩 주문이 밀릴 정도로 잘 팔린다.

이들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하차감, 크기, 경제성 등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을 잘 파고들어야 한다.

하차감 : 잘생기고 혈통도 좋아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하차감’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사용 기간이 짧은 소비재야 자기만족을 중시한다 쳐도 수천만원의 가격에 한 번 사면 평균 5년은 타는 자동차를 구매하는 데 있어서는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는 경우가 많다. 눈으로 보기에 폼도 나고 이름값도 내세울 만 해야 한다.

오로라1은 브랜드 측면에서 양날의 칼을 지녔다. 프랑스 르노와 스웨덴 볼보, 중국 지리의 혈통이 뒤섞였다. 르노코리아와 중국 지리자동차와 합작해 생산하며, 르노의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볼보의 CMA 플랫폼이 적용된다.

국내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대접을 받는 볼보의 플랫폼을 사용한 것은 오로라1이 내세울 수 있는 강점이다. 하지만 이 플랫폼이 지리자동차에도 쓰였다는 것은 썩 좋아 보이지 않는 이력이다. 로봇청소기 등 일부 전자제품에선 중국산이 품질을 인정받기도 하지만 자동차에 입혀진 중국 브랜드 이미지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배척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오로라1와 같은 볼보 CMA 플랫폼을 사용한 지리자동차 싱유에(수출명 몬자로). ⓒ지리자동차

디자인 역시 마찬가지다. 아직 오로라1의 디자인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르노코리아 홍보 영상에 등장한 실루엣과 헤드램프 형상이 지리자동차의 중형 SUV 싱유에(수출명 몬자로)와 유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르노코리아는 오로라1에 ‘르노와 볼보의 기술력 집약’을 중점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 역시 차별화해야 한다. 자칫 오로라1에 ‘지리 싱유에의 한국 버전’이라는 별명이 붙을 경우 국내에서의 판매에 치명적일 수 있다.

크기 : 같은 값이면 무조건 크고 넓어야

차체 크기와 실내공간도 중요하다. 무식한 얘기 같지만 같은 값이면 크고 넓은 걸 선호하게 마련이다.

특히 국내 소비자들은 차급에 민감하다. 프리미엄 브랜드로 넘어가지 않는 이상 대중차에서는 차급이 곧 경제력을 상징한다. 중형 SUV라고 내놨는데 차체 크기가 준중형과 다를 바 없다면 다른 가치가 아무리 뛰어나도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들다.

국내 완성차 시장에서의 경쟁은 압도적 시장 지배자인 현대차‧기아가 만들어놓은 규격 내에서 이뤄진다. 이들이 출시하는 차급별 사이즈가 곧 해당 차급의 규격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 벗어날 경우 포지셔닝이 애매해진다. 한국GM의 경우 제너럴모터스(GM) 본사로부터 중형 SUV 쉐보레 이쿼녹스를 들여오면서 싼타페‧쏘렌토보다 낮은 가격을 책정했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차체 크기로 인해 현대차‧기아의 준중형 SUV인 투싼‧스포티지와 같은 준중형 취급을 받으며 흥행에 실패했다. ‘준중형 SUV를 중형 가격에 판매한다’는 비난은 덤이었다.

현대차‧기아는 세대 변경이 이뤄질 때마다 차체 사이즈를 키워왔다. 지금의 싼타페‧쏘렌토는 과거 대형 SUV 못지않은 덩치를 자랑한다.

르노코리아 오로라1과 경쟁하게 될 기아 쏘렌토(왼쪽)와 현대차 싼타페. ⓒ기아/현대차

4세대 쏘렌토는 전장 4815mm, 전폭 1900mm, 축거(휠베이스) 2815mm의 제원을 갖췄다. 형제차인 싼타페는 지난해 5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나오면서 전장을 4830mm까지 늘렸다. 전폭과 축거는 쏘렌토와 동일하다.

오로라1의 제원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같은 CMA 플랫폼을 장착한 지리 싱유에의 제원을 통해 어느 정도 유추해볼 수 있다. 싱유에의 길이는 4770mm, 폭은 1895mm다. 외형상으로 보면 쏘렌토보다 살짝 짧지만 폭은 비슷하다. 실내공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축거는 2845mm로 손가락 한두 마디만큼 길다.

차체 크기를 무작정 키울 수는 없는 노릇이니 디자인적으로 볼륨감을 살리고 실내 구성도 최적화해 패밀리카 수요층이 만족할 만한 넓은 거주공간 및 적재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런 노력이 어느 정도 가해졌는지가 오로라1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경제성 : 착한 가격에 연비도 우수하다면 '금상첨화'

소비자들이 일반 내연기관차 대비 가격이 비싼 하이브리드차를 찾는 것은 기름값을 아껴 자동차 구매에 추가로 들어간 비용을 뽑아내고도 남는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이브리드차간 경쟁에서 연비는 소비자의 선택을 이끄는 결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쏘렌토 하이브리드의 신고연비는 15.7km/ℓ로 절반 크기의 경차보다도 우수하다. 쏘렌토보다 공차중량이 더 나가는 싼타페 하이브리드의 신고연비도 15.5km/ℓ로 준수한 편이다.

오로라1도 최소한 10km/ℓ대 중반의 연비는 제시해야 소비자들을 설득할 수 있다. ‘실주행연비는 신고연비보다 높다’느니, ‘주행 퍼포먼스 위주의 세팅을 했다’느니 하는 변명은 숫자보다 무력하다.

모든 측면에서 경쟁차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한 조건을 갖췄다면 최후의 승부처는 ‘가격’이다. 같은 완성차 업체가 만들어 파는, 동급 차종인데 가격이 유독 비싸다면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힘들다.

오로라1은 싼타페‧쏘렌토보다 더 낮은 가격을 제시해야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국내 소비자들은 중견 3사에 현대차‧기아가 일방적으로 매긴 가격표를 거부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길 기대한다.

지난해 KG 모빌리티의 토레스가 성공한 것도, 올해 한국GM의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히트를 친 것도 현대차‧기아의 동급 차종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한 덕이 컸다. ‘차별화된 프리미엄’을 앞세워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감수하라고 아무리 외쳐봐야 국내 소비자들에겐 통하지 않는다.

싼타페 하이브리드는 2륜구동 모델 시작 가격이 3888만원, 4륜구동 모델 최상위 트림은 5036만원이다.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3786만~4831만원으로 좀 더 저렴하다. 이 가격표가 못마땅한 소비자의 발걸음을 르노코리아 매장으로 이끌 수 있다면 오로라1의 앞길에는 청신호가 켜질 수 있다.

플랫폼과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유를 통한 개발비 절감, 해외 판로 확보를 통한 규모의 경제 등은 오로라1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이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