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앞세운 그림대회… 봉사 활동 신문광고… 위장막 쓴 신천지

임보혁 2024. 5. 20.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화' '이웃사랑' 등을 내세우는 신천지의 포교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부산성시화운동본부 이단상담소(소장 탁지일 교수)는 19일 신천지 유관단체인 세계여성평화그룹(IWPG)이 '평화 그림 그리기 대회'를 내세워 초등학생 등을 상대로 포교에 나서고 있다며 주의를 요청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랑·평화 겉포장 이단 경계령
유관단체 IWPG, 초등생 포교 나서
학부모들에 대회 공문 발송까지
“개인정보 기입 신청서 악용 위험”
신천지 유관단체 주관으로 열리는 그림 그리기 행사에 유의하라는 내용이 담긴 홍보물. 오른쪽은 국제신문 5월 17일자에 전면으로 실린 신천지 이미지 광고. 부산성시화운동본부 제공, 국제신문 PDF 캡처


‘평화’ ‘이웃사랑’ 등을 내세우는 신천지의 포교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신천지는 한국교회 주요 교단들이 이단으로 규정한 단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활동이 포교와 이미지 세탁에 활용하려는 ‘모략 포교’ 수법이라며 각별한 주의와 경계를 당부했다.

부산성시화운동본부 이단상담소(소장 탁지일 교수)는 19일 신천지 유관단체인 세계여성평화그룹(IWPG)이 ‘평화 그림 그리기 대회’를 내세워 초등학생 등을 상대로 포교에 나서고 있다며 주의를 요청했다.

이단상담소에 따르면 IWPG는 ‘평화야, 친구하자’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다음 달 1일과 6일 각각 경남 창원 양덕 삼각지공원과 부산시민공원에서 그림 그리기 행사를 연다.

이단상담소는 “주최 측은 국제대회라는 점을 내세워 전국 초중고교, 지역아동센터, 미술학원 등에 방문해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주의와 경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단의 무분별하고 검증되지 않은 문화행사에 적극적인 관심으로 학교와 지역을 지켜달라”고 덧붙였다.

사이비·이단 종교 대처 전문기관인 현대종교(소장 탁지원)에 따르면 경남 거제에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는 이 대회 공문을 학부모에게 발송했다가 뒤늦게 신천지 유관단체의 주관 행사인 것을 파악한 학부모의 민원으로 공문이 취소된 경우도 있었다. 현대종교 측은 “행사는 ‘구글폼’(온라인 접수 사이트)을 통해 신청하도록 안내되는데 ‘개인정보 수집 동의’ ‘사진 촬영 및 활용 동의서’ ‘미성년자 참가에 대한 법정 대리인 동의서까지 체크하게 돼 있다”며 “개인정보가 이단 단체인 신천지로 흘러들어가고 이 정보들이 포교 활동에 활용될 위험이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 신천지는 최근 부산 지역의 유력 일간지 중 한 곳인 국제신문에 전면 이미지 광고를 냈다. 신천지는 지난 17일 낸 광고에 성경 구절과 활동 사진을 함께 싣고 자신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부각했다. 정통교회 교리와 다른 교리로 한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됐음에도 “예수님의 가르침에 따라 이웃 사랑을 실천한다”는 홍보 문구를 게재했다. 그리고 옆에는 자신들의 교리가 담긴 홈페이지로 이동되는 큐알(QR)코드를 실었다.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단체라고 홍보하지만 결국은 대중을 대상으로 이단 교리를 전파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는 셈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단 전문가들은 이단들이 평화와 이웃사랑 같은 보편적인 가치를 앞세운 문화행사를 통해 포교에 나서는 이유가 “일반적인 포교방식으로는 사람을 끌어들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동안 여러가지 논란을 야기하면서 대사회 이미지가 실추되고 조직의 문제점이 노출된 상태에서 평화를 앞세워 사회에 필요한 조직이라는 점을 알리면서 조직의 이미지를 세탁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현대종교는 “학교나 교육청에서도 무분별하게 공문을 발송하기보다 주최 단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는 등의 대처가 절실하다”며 “공교육 기관이 이단 단체들의 포교 장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