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불닭 신드롬’… 삼양, 주가도 매출도 ‘초대박’

구정하 2024. 5. 20. 00: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라면 수출액이 사상 처음 월간 기준으로 1억달러를 돌파했다.

삼양식품은 해외에서 판매되는 라면을 모두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불닭'이 꾸준히 새로운 이슈로 화제몰이를 하면서 당분간 라면 수출액은 우상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라면 수출액이 뛴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생산 불닭볶음면 인기 끌어
1분기 삼양식품 영업이익률 20.7%
업계, 올 수출액 10억달러 넘길 전망


한국의 라면 수출액이 사상 처음 월간 기준으로 1억달러를 돌파했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의 인기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양식품은 해외에서 판매되는 라면을 모두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불닭’이 꾸준히 새로운 이슈로 화제몰이를 하면서 당분간 라면 수출액은 우상향할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1억859만달러(약 1470억원)로 지난해 같은 달(7395만 달러)보다 46.8% 증가했다. 기존 최고치였던 지난 2월 9291만달러(약 1259억원)을 뛰어넘는 신기록이다.

국내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증가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9억5249만달러를 기록했다. 올해는 10억달러를 가뿐히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4월 라면 수출액은 3억7885만달러(약 51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34.4%에 이른다.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라면 수출액이 뛴 것으로 보인다. 지난 1분기 삼양식품의 해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3% 상승해 289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체 라면 수출액 2억7026만달러(약 3663억원)의 80% 가까이를 차지하는 수치다. 해외에서 라면 공장을 가동하는 농심과 달리 삼양식품은 모든 수출 물량을 국내에서 생산한다.

특히 크림소스맛을 가미한 ‘까르보불닭’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화제를 낳으면서 미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유명 래퍼 카디비가 올린 까르보불닭 시식 영상은 한 달 만에 3200만회가 넘는 조회수를 달성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달리면서 빚어진 품귀현상 때문에 한 소녀가 생일선물로 까르보불닭을 받고 눈물을 쏟는 영상이 퍼지기도 했다.

삼양아메리카의 올 1분기 매출은 565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9.8% 폭등했다. 해외 매출이 늘면서 1분기 삼양식품은 영업이익률 20.7%라는 식품기업으로서 이례적인 성적을 거뒀다.

실적이 공시된 다음 날인 지난 17일 삼양식품의 주가는 가격제한폭(30%)까지 치솟으며 44만6500원까지 급등했다. 농심이 올 1분기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내면서 삼양식품과 농심의 시총 격차는 9000억원까지 벌어졌다. 같은 날 농심의 주가는 5.11% 내린 39만9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1분기 연결기준 농심의 매출은 87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 소폭 늘고 영업이익은 614억원으로 3.7% 줄었다.

미국에서 신라면의 입지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농심의 북미 성장세는 주춤하는 모양새다. 농심의 북미 매출은 1536억원으로 원화 기준 6.2% 감소했다. 월마트를 포함한 주요 유통 채널에서 전반적으로 매출이 줄었다.

농심 관계자는 “제2공장 가동으로 지난해 1분기 매출액이 급성장한 데 따른 역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