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쏟아지네! 나 잘하나봐" MZ 열광한 '원영적 사고' 뭐길래

배재성 2024. 5. 19. 10: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브 장원영. 뉴스1


지난해 9월 아이돌 그룹 '아이브'의 유튜브 채널엔 멤버 장원영이 스페인의 한 빵집을 방문해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먹고 싶은 빵을 사기 위해 줄을 섰는데, 바로 내 앞에서 빵이 동이 나버린 상황. 이때 장원영은 이렇게 말한다.

"새 걸로 준다. 아싸! 앞사람이 제가 사려는 빵을 다 사가서 너무 럭키하게 제가 새로 갓 나온 빵을 받게 됐지 뭐에요? 역시 행운의 여신은 나의 편이야!"

빵이 다 팔려 바로 받을 수 없게 됐을 때 불평하기보다 "따뜻한 빵을 받게 됐으니 행운"이라고 장원영처럼 받아들이는 것. 바로 이것이 최근 젊은층 사이에서 핫한 ‘원영적 사고’다. ‘전화위복(轉禍爲福)’ 이나 ‘오히려 잘됐어’라는 긍정적 사고를 넘어선 초긍정적 사고의 흐름을 일컫는 말이다.

장원영의 긍정적인 태도는 이미 팬들 사이에서 유명했다. 그의 발언은 팬들 사이에서 패러디 되어 대중적으로 유행하기에 이르렀다. 장원영이 주문처럼 외치던 '럭키 비키'는 유행을 상징하는 밈(meme)이 됐다. '럭키 비키'는 영어단어 럭키와 장원영의 영어 이름 '비키'를 합친 말. '운이 좋은 원영'을 뜻한다.

게임에서 꼴등했지만 뒤에서 1등이라고 즐거워하는 모습. 사진 유튜브 화면 캡처.


'럭키 비키'를 외치는 장원영처럼 젊은이들 역시 '원영적 사고'를 통해 자기충족적 예언을 한다. 나쁜 일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고, 나를 지키는 데 초긍정 사고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실제 SNS에는 젊은이들의 '원영적 사고'가 공유되고 있다. "업무 시작한 지 3일 만에 일이 쏟아지다니! 내가 신입치고 잘하는 편인가? 완전 럭키비키!", "내가 좋아하는 가수가 8년째 앨범을 안 내니까 덕질할 게 없어서 현생에 집중할 수 있잖아!'라는 식이다. 더 나아가 "저는 원영적 사고를 하는 사람입니다"라고 자기소개를 했고, 면접에 합격했다는 경험담도 나왔다.

'영원적 사고'의 패러디 게시물도 등장했다. 컵에 물이 반쯤 남았을 때 "반이나 남았네?" 혹은 "반 밖에 남지 않았네?" 대신에 "다 먹기에는 너무 많고, 덜 먹기에는 너무 적고, 딱 반만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완전 럭키 비키잖아"라고 하는 것이 장원영식 생각이라는 것이다. 이 게시물은 조회수 500만에 육박하며 화제가 됐다.

장원영 '원영적 사고' 신드롬 시작이 된 영상. 사진 유튜브 화면 캡처


그러나 한편에선 '원영적 사고'에 대해 자신에게 유리하게 생각하는 '정신승리' 아니냐는 지적도 한다.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고 현실을 회피하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 '원영적 사고'의 주인공인 장원영에게도 이런 질문이 들어왔다. 이때 장원영은 이렇게 답했다. “나는 진짜다. 진짜 승리까지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자신의 낙관은 단순한 ‘정신승리’가 아닌 반드시 실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뜻이다.

당분간 '원영적 사고'의 열풍은 MZ세대 사이 계속될 모양새다. 기업이나 정치인까지 '원영적 사고'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22일 진행된 아모레퍼시픽의 브래든 '아윤채' 리브랜딩 세미나에 '원영적 사고'가 언급됐고, 피자헛 등 브랜드에서도 이를 활용해 홍보하고 있다. 또 원영적 사고 챗GPT도 등장했다. 장원영의 말투를 이용해 현재 처한 상황을 초긍정적으로 해석해주는 것이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