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콘텐츠 48만 건 무료 개방

이종길 2024. 5. 17.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 원형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 약 48만 건을 무료로 개방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해 원본 정밀도가 밀리미터(㎜) 수준인 원형 데이터"라며 "국가유산 복원과 보존관리는 물론 3D 프린팅과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산업 활용 수요가 높은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로 서비스를 확대해 관련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 운영
레이저 스캐닝한 3D 데이터 정밀도 ㎜ 수준
국가유산 3D 에셋 콘텐츠 산업 활용도 높아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 원형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 약 48만 건을 무료로 개방한다. 국가유산 체계 전환을 기념해 17일부터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를 운영한다.

종묘 영녕전 3D 모델

지능정보를 서비스하는 공공부문 민간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정부 기관 최초로 기가바이트 단위의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한다.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해 내려받을 수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간편인증이나 반응형 웹(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화면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는 웹페이지) 적용으로 컴퓨터,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접속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와 콘텐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다.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 훼손과 멸실에 대비해 추진해온 원형기록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 결과물이다. 국가유산을 정밀하게 기록한 3차원(3D) 데이터와 도면, 사진, 보고서, 영상 등으로 구성됐다.

종묘 영녕전 드론 항공 사진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해 원본 정밀도가 밀리미터(㎜) 수준인 원형 데이터"라며 "국가유산 복원과 보존관리는 물론 3D 프린팅과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레이저 스캐닝은 근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대상물의 형상 등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첨단장비다.

둘째는 게임, 영화, 엔터테인먼트 등 디지털 콘텐츠 산업 분야의 활용도가 높게 점쳐지는 국가유산 3D 에셋이다. 1000년 고도(古都) 신라의 역사문화 환경을 디지털 콘텐츠로 구현한 '신라 왕경', 조선 시대 왕실 소품과 궁궐 건축 양식을 담은 '왕실 문화', 가옥과 소품으로 구성한 '조선시대 생활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제작됐다.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는 물론 글로벌 플랫폼인 '언리얼 마켓플레이스', '유니티 에셋스토어', '스케치팹' 등에서도 만날 수 있다.

경복궁 근정전 내 왕실 소품 에셋

셋째는 테마 콘텐츠다. 세계유산과 자연유산, 무형유산 등을 활용해 제작한 고해상도 영상과 가상현실(VR)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산업 활용 수요가 높은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로 서비스를 확대해 관련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