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수의 심장' 20대 아니었다…얌전했던 부장님 대반전

이소아 2024. 5. 16. 2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추천! 더중플 – 돈 벌기 힘드네…‘내 또래들은 어떻게 투자하고 있을까?’

「 ‘월급 빼고 다 오르네’. 요즘처럼 이 말이 와 닿는 때가 없습니다. 최근 통계를 보면 고물가 탓에 가구당 월평균 지출액 증가율이 소득보다 훨씬 큽니다. 특히 ‘월급쟁이’들의 근로소득은 거의 제자리라 주식 차익이든 배당이든 임대료든 가외소득이 간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나 빼고 다 잘 사는’것 같은 기분마저 듭니다.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는 지식과 정보, 인사이트를 모두 갖춘 고품격 투자 콘텐트를 제공합니다.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20대부터 60대까지 2500명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세대별 재테크 현황과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내가 놓친 트렌드는 없는지, 지금 꼭 필요한 투자전략은 무엇인지 꼭 체크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허윤주 디자이너


① 20대 “은행이냐 코인이냐”…30대 女가 男보다 공격적


젊을 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나이 들수록 안전하게 투자한다는 말도 옛말이 됐습니다. 머니랩이 설문조사해 보니 현재 금융투자를 하고 있다고 답한 20대의 대부분은 예·적금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있었습니다. 이 와중에 일부 20대 남성은 월수입의 절반 이상을 금융상품에 붓는 등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30대에선 남성보다 여성이 투자에 적극적인 것도 흥미롭습니다.

가장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보이는 연령층은 50대였습니다. 테마주 투자도 가장 활발했습니다. 핸드폰을 붙잡고 ‘주식 삼매경’에 빠진 부장님들이 많은 게 우연이 아닙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50대가 20대보다 더 공격투자…30대 여성은 ‘美지수’에 꽂혔다 [세대별 2500명 투자분석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406


② 가상화폐, ‘인생역전 → 분산투자’ 수단으로


2024년, 가상화폐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지난 3월 1억원을 돌파한 뒤 꺾이긴 했지만 올해 안에 어쨌든 미국 금리인하가 시작될 거라는 전망만으로도 상승 기대감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투자 경험이 가장 많은 건 30대였습니다. 이어서 40대, 20대 순이었죠. 가상화폐에 가장 공격적인 건 20대였는데, 이들은 자산을 늘릴 기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코인대박’을 꿈꾸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무엇보다 머니랩 설문조사에선 가상화폐가 분산 투자의 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중이 코인을 투기 수단이 아닌 대체 투자처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 이건 의미심장한 변화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코인 투자자 24%는 ‘보험용’…20대만 월급 절반 ‘지른다’ [세대별 2500명 투자분석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674
사진 셔터스톡


③ 은퇴까지 5억은 모으겠죠? 대부분은 ‘아니오….’


부동산 투자는 안 하는게 아니라 못하는 겁니다. 머니랩이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에 60대는 ‘50~8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20~40대는 ‘없다’는 답이 최다였습니다. 소득과 자산 수준 탓입니다. 부동산 투자자 중에선 아파트 보유 비중이 66%로 단연 높았는데 50대의 경우 10명 중 7명 이상이 아파트에 투자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자금력이 부족한 젊은 세대의 경우 빌라와 오피스텔을 사들였죠.

하지만 부동산은 갈수록 가치가 양극화하는데다 비교적 현금화가 어렵기 때문에 투자한다고 무조건 노후가 보장되는 건 아닙니다. 실제 응답자들은 재테크를 하고 있으면서도 노후 불안이 컸습니다.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60대조차 은퇴까지 5억원도 못 모을 거란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은퇴까지 5억 모을 수 있을까? 20대 “당연” 60대 “못 모았다” [세대별 2500명 투자분석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980

■ 머니랩-이런 투자도 있습니다. 더 보시려면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 “폭망한 테슬라, 딸 가지렴” 손실 떠넘긴 강남 엄마 노림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9515

1억 모아 월 100만원 돈줄…4050 꼭 필요한 노후 설계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2925

반토막 났는데 “또 추락한다”…에코프로 3형제는 이때 사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8645

‘월 93만원’ 미국 배당의 마법…노후 월급 350만원 꽂힌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3305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