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다시 웃었다…영업익 전년비 245%↑, “가격 역주행 효과”

최은경 2024. 5. 16. 17: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마트가 먹거리와 생필품 60종을 초저가로 제공하는 '가격 역주행' 할인 행사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마트가 다시 웃었다. 지난해 첫 연간 적자를 낸 이후 창사 이래 처음 희망퇴직을 실시했던 이마트는 올해 1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성적을 냈다.

16일 이마트는 지난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7조2067억원, 영업이익 47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 245% 증가한 수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는 이보다 적은 226억원이었다.

할인점 별도 기준으로도 지난해보다 개선된 매출 4조2030억원(2.3% ↑), 영업이익 932억원(44.9%↑)의 실적을 발표했다. 이마트는 가격 경쟁력 강화로 고객 수를 늘린 것을 실적 개선의 주 요인으로 꼽았다.

이마트 관계자는 “직소싱과 대량 매입, 제조업체와 협업 등 유통 노하우를 총 동원해 50여 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였다”며 “점포 리뉴얼도 고객 유인과 체류 시간 증대에 영향을 미쳐 고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었다”고 말했다.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을 늘리는 데는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가 효자 노릇을 했다. 고물가가 장기화하자 단위당 가격이 저렴한 대용량 상품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면서 트레이더스 고객 수는 전년보다 7.5% 늘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74억원에서 올 1분기 306억원으로 313.5% 증가했다. 노브랜드 등 전문점 영업이익은 108억원으로 역시 지난해 동기 대비 42.1% 늘었다. 전문점 매출은 2535억원으로 7.2% 감소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스타벅스(SCK컴퍼니),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프라퍼티, 조선호텔앤리조트 등 자회사 3곳의 영업이익도 각각 327억원(60% ↑), 122억원(320.6% ↑), 54억원(35% ↑)을 기록하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SCK컴퍼니 호실적 배경으로는 신규 출점 효과와 폐기 감축 등 원가 개선 노력이 꼽힌다.

SSG닷컴(쓱닷컴)과 G마켓(지마켓) 등 온라인 자회사들은 수익성 중심의 상품 강화, 물류비 효율화 등으로 적자 폭을 줄였다. 영업손실은 각각 139억원, 85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손실을 10.9%, 22%씩 줄였다. 반면, 편의점 이마트24의 영업손실은 131억원으로 236% 늘었다. 회사 측은 물류 인프라와 시스템 개선 투자 등으로 손실이 커졌지만 최근 시너지 효과가 나고 있는 오프라인 기능 통합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마트·슈퍼·편의점 등 오프라인 3사 기능 통합의 시너지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싱 노하우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점포의 가격 경쟁력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