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해보이는 ‘비건 화장품’, 피부엔 과연 더 좋은 걸까?

신소영 기자 2024. 5. 16. 1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건 화장품’은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화장품을 말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이제는 화장품도 비건(Vegan)이 대세다. 실제로 국내 비건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3년 1600억 원에서 2022년 5700억 원으로 4배 가까이 커졌으며, 2025년엔 1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크림, 팩, 립밤 등 기초 제품부터 쿠션, 아이라이너 등 색조 제품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약 3년 전쯤부터 비건 브랜드가 늘어나며 다시 인기를 끌기 시작한 비건 화장품, 그런데 사실 정확한 비건 화장품의 뜻과 효능을 알고 쓰는 사람은 드물다. 피부에 직접 바르는 화장품이 비건이라니, 괜히 더 순하고 좋아 보이는 느낌 때문에 쓰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정말 비건 화장품이 일반 화장품보다 피부에 더 좋을까?

◇비건 화장품, 동물성 원료 배제한 것
비건 화장품과 일반 화장품의 차이점은 바로 ‘동물성 원료 함유 여부’다. ‘비건’이 고기는 물론 우유, 달걀도 먹지 않는 엄격한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것처럼 ‘비건 화장품’은 동물성 원료를 완전히 배제한 식물성 원료로 만든 화장품을 뜻한다. 동물실험도 하지 않는다. 흔히 비건 화장품을 ‘천연 화장품’이나 ‘유기농 화장품’과 같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해다. 을지대 화장품미용학과 신규옥 교수는 “천연 화장품은 동·식물과 그 유래 원료 등을 95% 이상 함유한 화장품을 지칭하고, 유기농 화장품은 동·식물을 포함한 유기농 원료를 10% 이상 함유한 화장품이다”고 말했다. 즉, 동물성 원료가 빠진 화장품은 비건 화장품이 유일한 것. 여기서 동물성 원료란 대표적으로 ▲동물의 피부와 조직에서 추출한 콜라겐 ▲꿀에서 나온 프로폴리스 ▲벌집 왁스 추출물 ▲상어 간에서 추출한 스쿠알렌 ▲양털에서 추출하는 라놀린 등이 있다. 한국비건인증원 등을 통해 이러한 원료가 없다고 판정받으면 비건 인증 마크가 붙는다.

◇비건은 비건일 뿐… 기능 더 뛰어나진 않아
보통 비건 화장품은 일반 화장품보다 안전하고 자극이 적으며, 더 뛰어난 기능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럴까? 신규옥 교수는 이를 화장품과 유사한 음식에 비유해 설명했다. 그는 “요리를 할 때 동물성 원료를 제외하고 식물성 원료만 사용한다면, 그게 동·식물 재료 모두를 편히 쓰는 것보다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다거나 몸에 좋은 요리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화장품 공정도 이와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결국 일반 화장품과 비슷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한된 동물성 원료의 대체품을 식물성 원료에서 찾아야 한다. 따라서 비건 화장품이 다른 화장품보다 기능 면에서 떨어진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비건' 화장품이라는 이유로 피부 개선 기능이 뛰어나지는 않다는 것이다.

◇나에게 맞는 성분인지 살피는 게 중요
‘비건’ 여부보다 중요한 것은 특정 성분의 함유 여부다. 신규옥 교수는 “비건 화장품과 일반 화장품 모두 자신의 피부에 맞지 않거나, 계절이나 피부 상태에 따라 부작용 위험이 있기는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꽃가루 알레르기처럼 특정 식물성 성분이 피부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것. 비건이나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가 대체적으로 순하다고 하지만, ‘저자극’에 대한 별도의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건 화장품이 모두 순하고 자극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찾아 쓰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단순히 비건 인증마크 여부 확인에 그치지 않고 전성분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찾아 쓰는 게 좋다.

자연유래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 아이소이 관계자 역시 “최근 기술력의 향상으로 성분이 순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되면서도 효과 높은 기능성 화장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며 “비건이다, 아니다의 기준보다는 제품 자체가 가진 기술력과 직접적인 효과 인증 내용, 유효성분 함량 등에 초점을 맞춰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이소이 비건 제품은 유해의심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국내외 해외 인증을 통해 기능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아 오고 있다”고 말했다.

◇비건 화장품 소비, 윤리적 가치도 큰 영향
비건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또 하나의 큰 이유는 윤리적인 가치 때문이다.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만큼, 제조 과정에서 동물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비건 브랜드에서 이를 강조하는 추세다. 영유아 비건 화장품 브랜드 타가(TAGA) 관계자는 “비건으로 아이의 미래까지 고민하자는 출발점에서 지속가능한 비건 화장품을 개발하게 됐다”며 “자연유래 성분으로 예민한 아이 피부 자극을 최소화했고, 원료뿐 아니라 용기 패키지까지 재활용 소재를 사용해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제품 판매 시 수익금의 일부를 인제군 숲 보호를 위해 꾸준히 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 러쉬, 톤28 등 외국의 유명 비건 화장품 브랜드들 역시 자연유래 화장품 성분은 안정적으로 지키되, 최소한의 포장을 통해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등 윤리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