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업황 회복기 소재주 주목해야" [김지운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본부장]

2024. 5. 16. 16: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업황 회복기를 맞아 소재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 때라고 한국경제TV 성공투자오후증시 1부에 출연한 김지운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본부장이 강조했습니다. 성공투자오후증시는 매일 오후 2시 방영됩니다.

<앵커> AI산업 성장과 함께 반도체 테크산업이 올들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주목해야 할 게 특히 테크'소재' 분야라고 하는데, 어째서인지?

<김지운 본부장> AI산업의 성장으로 처음에는 GPU와 HBM만 좋았다가, 이제는 데이터센터 기존 투자가 보강되면서 SSD까지 퍼지고 있습니다. 낸드 반등은 굉장히 멀리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SSD 수요가 강세를 보이면서 낸드 까지도 온기가 퍼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디램이랑 낸드 모두 가동률이 2분기부터 많이 올라가는 모습이 나올 꺼구요, 그렇기 때문에 가동률이 올라가는 시점에 '소재'가 전체적으로 좋습니다. 하반기에는 기존 데이터 센터투자가 재개되고, 온디바이스AI기능이 탑재된 노트북 등이 출시되어서 교체수요를 자극할 경우 가동률은 생각보다 더 빠르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앵커> 소재 중에서도 핵심소재가 있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을 말하는지?

<김지운 본부장> 반도체의 미세화와 2차전지의 경량화/급속충전 등 모두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혀 있는데, 최근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소재들이 첨가되면서 성장률이 나오고 있습니다. High-K(지르코늄/하프늄), 실리콘음극재 CNT도전재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HIGH-K는 반도체에서 메탈게이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해주는데요. 미세화된 회로에 절연막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술적인 난제를 해결해주는 구원투수 같은 소재들인 거죠. 바로 그런 소재들을 저희는 테크핵심소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반도체 업황의 회복이 설령 다소 늦어지더라도, 산업의 성장률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입니다.

<앵커>다른 테크 산업 중에 2차전지 산업은 어떤가요? 역시 소재가 중요합니까?

<김지운 본부장> 많이들 들으셨다시피 전기차 판매가 부진한 상황입니다. 보통 캐즘이라고 하는데, 성장산업의 성장율이 약간 정체 되는 구간이 나올 수 있죠. 테슬라 조차도 힘을 잘 못쓰고 있고, LFP 기술을 가진 중국산의 재고도 유럽에 많이 쌓이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체 물량이 생각보다 늘지 않고 있고, 리튴가격 등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면서 매출성장률이 더더욱 안나오는 구간입니다. 가동률도 높지 않기 때문에, 반도체의 턴어라운드가 나오는 시점이 아직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범용소재보다는 테크핵심소재에만 선별적으로 투자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앵커> 소재만 바꿔줘도 성능의 한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말씀이신데 , 어떤 소재들일까요?

<김지운 본부장> 실리콘 음극재, CNT도전재, 황화리튬 등이 해당됩니다. 특히 황화리튬은 차세대 2차전지로 기대되고 있는 전고체배터리의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앵커> 말씀해주신 소재들은 결국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중요한 과제일텐데, 최근 미중 무역장벽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것 같습니다. 무역갈등이 우리 소재분야 기업들에는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

<김지운 본부장> 최근에 바이든 정부에서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100% 부과하겠다라고 발표했는데, 사실... 중국산 전기차가 이미 미국에 들어가기 힘들기 때문에 효과적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IRA 같은 경우는 원재료에 대한 세부 규정이 있어서, 한국 기업들이 아직은 경쟁력을 확보한 것 같습니다만... 한국기업들의 원재료로 내려갔을 때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불안 요소는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에서 비춰봤을 때,,, 중국산을 규제하니깐 동남아나 유럽을 경유해서 다 들어가거든요. 미중 무역 갈등 덕에 한국기업이 시간을 좀 벌긴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중국산이 위협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무역장벽은 시간이 지나면 의미가 없고,, 기술의 진입장벽만이 기업을 지켜줄 수 있습니다. 반도체는.. 아직 그래도 진입장벽이 일부 있는 것 같지만, HUAwei의 기술력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어서, 5년 이후는 안심할 수 없습니다.

<앵커>국내에서 소재를 재활용하는 사업 가운데 가장 유망하다고 보시는 분야는?

<김지운 본부장> 철강공장에서 발생한 특수 가스를 가공해서 반도체 공정에 납품하고, 거기서 사용하고 남은 가스를 수거해서 재활용하고 다시 납품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다면 장기적으로 굉장히 높은 진입장벽을 갖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환경비용이 점점 중요해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실질적인 비용 측면에서도 이런 재활용 기술이 자원이 부족한 한국에서 부각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도 한 때 도시광산 테마가 있엇는데, 의미있는 기업이 나오진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말씀해주신 소재분야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상품들이 많습니다. 어떤 상품들이 대표적이고, 투자할 때 따져봐야 할 포인트들을 정리해주신다면?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